김의진 기자

김의진 기자
김의진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전국 전문대학들이 ‘교육혁신’을 위한 발전계획 수립에 분주하다. 교육부도 ‘대학 혁신지원 사업’으로 체제를 바꾸는 등 정부 재정지원사업을 개편해 불을 지피고 있다. 새롭게 변화하지 않으면 국내 고등교육 시장에서 자신들의 대학이 자취를 감출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대학의 생존’이 ‘혁신’과 밀접하게 연결이 되고 있다는 문화가 확대되고 있다.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Ⅱ유형(역량강화형) 서면·대면 평가가 종료됐다. 서면·대면평가에서 각 대학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중심으로 특성화 사업 목표나 재정집행 계획 등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보고서에 담긴 ‘혁신’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고 한다. 어떠한 방향으로 대학 혁신을 이끌어갈 것인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몇몇 질문과 대답이 오갔다고 했다. 그런데 짧은 시간 동안, 여러 평가항목에 맞춰 끼워넣은 식으로 준비된 보고서를 검토하는 과정으로 ‘혁신’이 이뤄지는 것이었던가? 이러한 의미에서 대한민국의 고등교육은 여전히 갈 길이 먼 것 같다.

지난 한 주, 일반대와 전문대를 막론하고 ‘교육 혁신’에 대한 주제를 논의한 굵직한 행사가 있었다. 하나는 본지 부설 한국대학경쟁력연구원이 개최한 ‘대학 성과관리 강화를 위한 보직자·관계자 연수’였고, 또 하나는 한국전문대학교수학습발전협의회가 주최한 ‘교수학습혁신과 질 관리’ 세미나였다.

두 행사에서 전문가들은 “한국 대학들이 시대 변화에 뒤떨어지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 ‘핵심 키워드’를 상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대학문화를 변화시켜야 한다”며 “속도보다 방향이다. 어느 방향으로 뛰어갈지를 각 대학들이 잘 생각하길 바란다. 무엇을 위한 혁신일지 고민하며, 대학의 본질적인 이유를 생각해보라”고 당부했다.

그렇다면 대학들이 전문가들의 조언을 이제까지 몰라서 못했던 것이었을까?

기자는 지난주 행사를 취재하며, 상당히 안타까운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너무나 좋은 행사였고, 전문가들은 대학 생존을 위한 이 급한 시간에도 ‘상생’을 위한 ‘혁신의 조언’을 나눠주기 위해 열심이었다.

그런데 이 행사에 교육부나 정부 당국자는 단 한 명도, 정말로 단 한 명도 오지 않았다. ‘혁신’과 ‘차별화’가 대학만이 떠안아야 할 숙제였던가? 교육 당국자들은 이러한 자리에 왜 오지 않는가. 지난 행사를 통해 기자가 느낀 점은 자명했다. 대학 안에서의 ‘교육혁신’ 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컸다. 하지만 교육 당국의 ‘정책혁신’에 대한 열정은 그 어디에서도 여전히 찾아볼 수 없었다.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국내 고등교육의 혁신을 말하려면, 대학의 ‘교육혁신’과 당국의 ‘정책혁신’ 노력이 전략적이고 체계적이며 상호보완적인 모습을 갖출 때 가능할 것이다. 고등교육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대학들의 노력의 반만이라도 교육 당국이 보여줬으면 한다. 돈만 던져주면서 ‘너희들 알아서 준비해봐’라는 식의 교육부 태도부터 혁신해야 한다. 앞으로는 진정한 혁신의 의미에 대해 ‘함께 공부하는 교육부’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