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조 선문대 총장이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9’ 4차 콘퍼런스에서 선문대를 중심으로 혁신교육 사례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한명섭 기자]
황선조 선문대 총장이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9’ 4차 콘퍼런스에서 선문대를 중심으로 혁신교육 사례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준환 기자] 선문대학교의 교육혁신은 수년에 걸쳐 이뤄졌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선문대는 굵직한 정부재정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교육혁신을 위해 사업비를 다시 투자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 연구, 산학, 취업, 평판 등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로 정착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9’ 4차 콘퍼런스에서 황선조 선문대 총장은 지정 토론자로 나서 선문대의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혁신교육을 가능하게 했던 발전 전략 등에 대해 발표했다.

황 총장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선문대의 혁신교육 포인트는 △학생성공을 위한 전 주기적 체계 구축 △데이터 기반의 교육성과 관리체계 구축 △전 학생 해외연수 글로벌 역량 제고 △대학브랜드·자기주도경쟁력학과에 기반한 대학 특성화 달성 △SW기반역량교육 강화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 배출 등 총 5가지로 요약된다. 

황 총장은 “2012년 총장으로 부임한 이후 대학혁신의 방향을 5가지로 잡았다. 구체적으로 비전설정을 통한 방향의 혁신, 국책사업을 통한 방법의 혁신, 학생중심을 통한 가치의 혁신, 교육혁신을 통한 체질의 혁신, 주·산·학(住·産·學) 협력을 통한 공동체 혁신이었다. 6년이 흐른 지금은 구성원의 자존감이 높아졌고 대학평판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됐다. 결국 지속발전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성장하게 됐다”고 밝혔다. 

황 총장은 이러한 대학혁신의 방향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했다. 우선 황 총장은 “건학이념에 기반한 ‘주·산·학 글로컬 공동체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설정해 ‘2025 Top Glocal Platform University’라는 목표를 도출했다. 5대 세부 목표로 경쟁력이 강한 대학, 잘 가르치는 대학, 지역기반 거점대학, 글로벌 선도대학, 구성원이 행복한 대학을 정해 ‘학생중심·참여와 생성·성장과 행복’이라는 3대 핵심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5대 발전전략과 31개 추진과제를 설정했다”고 말했다.  

또 황 총장은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대변되는 외부 충격 및 대학 정체성에 대한 의문과 구성원의 피로감으로 나타나는 내적 도전을 국책사업 수주를 통한 방법의 혁신으로 이겨냈다고 했다. 즉, 2014년 LINC사업을 시작으로 CK-Ⅰ, ACE+, BK21+, WE-UP, LINC+,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등에 이르기까지 17개 국책사업 수주를 통해 혁신의 추진력을 확보해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황 총장이 교육혁신에 있어 또 하나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학생중심을 통한 가치의 혁신이었다. 황 총장은 “가치의 혁신을 이뤄내기 위해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중심을 고려해 모든 정책을 결정했다”며 “‘글로컬 서번트 리더’ 양성을 위한 자기주도 생애설계 교육모델을 만들어 학생들의 자신감과 자존감 향상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선문대는 창의공감시간, 창의학습공간, 학습공간으로서의 RC구축 등 학생교육 여건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선문대는 교육혁신을 통한 체질의 혁신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교육성과, 교육특성화로 구분해 추진하고 있다. 황 총장은 “선문대가 실시하는 교육적 성과는 A.C.E.(Advanced·Cooperate·Especial Course) 제도, 글로컬 서번트 리더 인증제·교육과정 인증제·교과목 인증제 등 3대 인증제를 통한 교육의 질 관리, 데이터기반 교육만족도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선문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통해 학생들의 역량수준을 측정한 결과 인성, 창의, 글로컬, 소통 분야의 4대 역량군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황 총장은 공동체 혁신의 방향성과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주·산·학 협력을 통한 공동체 혁신 과정에서 산학협력협의체와 ICP(Industry Coupled collaboration Program)·RCP(Regional Coupled collaboration Program) 체계를 구축하고 CIDER(Community and Industry DEmand Response)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교육현장과 지역 및 산업체 참여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