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환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준환 기자] 17일 시작된 연세대에 대한 교육부 종합감사가 막바지에 이르렀다. 자연히 대학가의 시선은 연세대에 이어 두 번째 종합감사를 받는 대학이 어디일지에 관심이 모아지는 상황. 

교육부 종합감사에 오른 대학은 경희대·고려대·광운대·서강대·연세대·홍익대(서울권), 가톨릭대·경동대·대진대·명지대(경기·강원권), 건양대·세명대·중부대(충청권), 동서대·부산외대·영산대(영남권) 등 총 16개교다. 종합감사의 순서가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기에 다음 타깃을 두고 ‘카더라 통신’만 난무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대학이 있는 것 같긴 하다. 물론 감사받는 대상 대학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마저도 설(說)로 봐야 한다. 다만 공개된 사실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대상은 감사 2주 전에 발표한다는 것과 학생수‧적립금 등 재정 규모, 과거 비리 적발 여부 등을 고려해 순서를 정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공개된 정보와 대학가의 상황을 바탕으로 두 번째 종합감사를 받는 대학을 꼽으라면 어디일까. 이 지점에서 작동하는 추론 방식이 소위 ‘카더라’ 통신이다.  

그런데 ‘카더라’ 통신이라고 하더라도 나름대로 논리 내지 설명 체계를 갖고 있다. 우선 교육부가 그동안 ‘전가의 보도’처럼 휘둘러 온 공식에 기댄 논리다. 교육부 관료들이 신봉하는 ‘기계적 평등’을 염두에 둔 프로토콜이다. 이에 따르면 서울권 대학을 첫 번째 감사 대상 대학으로 삼았으니 두 번째는 지역의 대학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나리오다. 대상을 좀 더 좁혀보면 학생수와 적립금이 많으면서 과거 비리 적발 여부가 많은 대학은 가능성이 더 높을 수밖에 없다. 특히 과거에 제보나 민원이 많은 대학이라면 더더욱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대학 순번을 추려낼 수 있겠는가. ‘측은지심(惻隱之心)’에 기댄 논리도 있다. 16개교에 이름을 올린 대학 가운데 작년에 정부의 회계감사를 받은 대학도 있다. 회계감사와 종합감사가 규모나 강도가 다르긴 하지만 ‘설마 작년에 이어 올해 연달아 감사를 하겠어?’라는 인식이 기저에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올해에는 종합감사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도저도 아닌 ‘엿장수 마음대로’ 논리가 작동된다는 얘기도 들린다. 순서를 미리 정해놓은 게 아니기 때문에 두 번째 순번은 교육부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상 복불복(福不福)이다. 결국 감사받는 순서를 두고 이런저런 셈법을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얘기다. 이밖에 정치공학적 관점에서의 접근법, (여기에 밝히기에 곤란한) 황당무계한 억지 논리 등 여러 얘기가 떠돌았다. 

교육부는 이번 종합감사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교육계 안팎에서는 ‘사학 길들이기 아니냐’는 우려가 여전하다. ‘매도 먼저 맞는 놈이 낫다’는 속담이 있다. 이왕 해야 할 일이라면 먼저 하면 마음이 편하고 여유가 생긴다는 뜻이다. 교육부 종합감사를 받아야 하는 대학 입장에서 봤을 때 그다지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말일 게다. 지금 상황으로 보면 종합감사를 늦게 받을수록 유리한 측면이 많다. 최근 교육부 감사를 받은 대학 교직원 얘기를 들어보니 감사관이 숙제(?)를 내 주고 가니까 익일 새벽 2시까지 일해야 숙제를 마칠 수 있었다고 푸념했다. 8월의 어느 날 두 번째 감사를 받을 대학이 호명될 것이다. 벌써부터 무더위와 종합감사 숙제에 잠을 설칠 대학 교직원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