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흥 한동대 총장, KAIST 부총장 재임 시절 입학사정관제 최초 도입 주도
문 대통령 정시 50% 확대 발표에 “‘과정중심’ 평가 교육과정 파행” 우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 교학부총장 재임 당시 국내에 입학사정관제 최초 도입을 주도했던 장순흥 한동대 총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정시확대' 언급을 두고 "오히려 공교육이 죽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장 총장은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본지와의 특별인터뷰를 했다. [사진 = 한명섭 기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 교학부총장 재임 당시 국내에 입학사정관제 최초 도입을 주도했던 장순흥 한동대 총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정시확대' 언급을 두고 "오히려 공교육이 죽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장 총장은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본지와의 특별인터뷰를 했다. [사진 = 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현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 재임 당시 국내에 입학사정관제 최초 도입을 주도했던 장순흥 한동대 총장이 “과거부터 정시모집 비율이 높을수록 8학군 학생들의 명문대 입학률이 높았다”면서 “정부가 내놨던 ‘과정중심’ 평가에 맞춰 학생들이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과중심’의 정시를 확대하면 학생들에게 ‘대혼란’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등을 통해 과정중심형 평가체제로 교육과정을 바꿨다. 문 대통령의 ‘정시 확대’ 발언은 현재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대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입학사정관제도는 장순흥 총장이 카이스트에서 교학부총장을 지내던 2008년 처음 도입해 이후 전국 대학으로 확산됐다. 당시 정부에서도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장려했고 이후 전국적으로 대학 입시에서 수시모집 비율이 점차 늘었다. 2020학년도 기준 대학입학정원 77%가 수시전형을 통해 선발된다. 정시는 23%에 불과한 상황이다.

장순흥 한동대 총장은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이뤄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장 총장이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궁극적인 이유는 당시의 수능 위주 입학제도가 공교육보다는 사교육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장 총장은 “수능 위주 입시전형에서 학생들은 학교에서 자고 밤늦게 사교육에 매달리는 부작용이 발생했고 스스로 공부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기르지 못했다”면서 “입학사정관제를 통해서 주입식 공부 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학생들을 선발하고, 이는 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시절 올바른 학습태도를 기르는 데 선순환 효과를 발휘해 왔다”고 설명했다.

장 총장은 문 대통령의 정시 확대 언급을 두고 “조국 자녀 문제를 단초로 시작된 입시비리 문제를 마치 현 입시정책의 문제인 양 한정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역설했다.

특히 장 총장은 “조국 자녀들의 ‘불공정 입학’ 등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끌어 오르니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잘못된 해석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 총장은 “대학입시가 수능 위주 전형으로 돌아간다고 해서 공정해지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8학군 지역 학생들에게 유리하다”라며 “8학군 지역의 경제적 특성상 정보력도 비교적 빠르다. 당해 수능 출제위원과 그의 전공이나 특성을 파악해 수능 출제 유력 범위의 분석 정보를 얻는 등 유리한 결과를 얻기 쉽다”고 지적했다.

입시제도는 교육을 넘어 국가 전반을 살펴보고 신중히 다뤄야 할 문제라는 게 장 총장의 조언이다. 장순흥 총장은 “입시제도는 입시를 넘어 대학 이후 생활, 크게는 국가 균형발전까지도 고려해서 다뤄야 할 문제”라며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실제 카이스트를 비롯해 이른바 ‘명문대학’에 지방학생들이 많이 입학했다. 수능 위주였던 시절에는 불가능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수능 위주 입시제도에서는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지하면서 오히려 공교육이 제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면서 8학군이나 학원가 주위 부동산 폭등 현상을 부르기도 했다”면서 “입시정책은 교육을 넘어 국가 전체 발전의 문제로 보고 신중히 다뤄야한다. ‘공정성’이 여론에 오르면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제도로는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