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숭실대학교(총장 황준성)는 엄경희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현대시와 추의 미학(보고사, 2018년)》과 오미영 일어일문학과 교수의 《일본 천자문 훈점본의 해독과 번역-동경대학 국어연구실 소장 『주천자문』을 대상으로-(박문사, 2019년)》가 2019년 세종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엄경희 교수는 현실적 추의 편재성을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의 당당한 예술미학으로서 그것이 우리 문학, 특히 현대시의 영역에도 미의 미학을 압도할 정도로 수용하고 있따고 판단해 저서를 통해 추의 미학을 이야기했다.

엄 교수는 추의 미학이 현대시의 영역에 거침없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이른바 1980년대 ‘해체시’로 명명됐던 황지우・박남철・장경린・장정일・최승자 등에 의해서라고 말한다. 이후 1990년대를 지나 2000년대에 이르면 추의 미학은 미의 미학을 압도할 정도로 시인들의 상상력을 강력하게 자극하는 창작기반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러한 추세로 미루어 볼 때 미와 추의 이분법적 대립관계에 의해 정립된 가치론은 오히려 도식적인 것, 혹은 경직된 사유의 틀로 작용할 위험을 갖게 된다. 미와 더불어 추는 다만 하나의 형상이나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와 감각, 인식,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오미영 교수는 2009년 동경대학에서 연구년을 보내면서 자료를 발굴해 귀국 후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후 10년 만에 《일본 천자문 훈점본의 해독과 번역-동경대학 국어연구실 소장『주천자문』을 대상으로-》를 발간했다.

해당 도서는 일본 동경대학 국어연구실이 소장하고 있는 15세기 훈점본인 《주천자문》을 고찰대상으로 연구한 연구서다. 먼저 해당 문헌에 기입된 훈점을 판독해 문법적・어휘적 고찰을 한 후 그것을 바탕으로 중세 일본의 천자문 훈독문(천자문 원문의 번역문)을 재구했다.

또한 천자문의 서문을 쓰고 주석을 단 이섬(李暹)의 주석 원문을 번각해 번역함으로써 천자문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후 그 내용이 훈독문에 정확하게 반영돼 있는지 고찰했다. 나아가 훈독문과 이섬(李暹)의 주석을 우리말로 번역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