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과 평가 및 환류체계 수립 방안’ 과정에 나선 김수현 강원도립대학교 교수가 16일 ‘역량 기반 전공,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허지은 기자)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과 평가 및 환류체계 수립 방안’ 과정에 나선 김수현 강원도립대학교 교수가 16일 ‘역량 기반 전공,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허지은 기자)

[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김수현 강원도립대학교 교수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 방법에는 정답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학의 상황을 고려한 방법을 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수현 강원도립대학교 교수는 16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관 ‘전문대학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과 평가 및 환류체계 수립방안’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강의했다.

김 교수는 역량을 도출하는 단계에서는 대학의 역량의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학의 역량이 어느 정도 설정돼 있는 경우에는 대학의 비전과 교육 목표, 인재상을 중심으로 역량을 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면 사업계획 내용도 참고해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 양성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이 경우 단 시간에 역량을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역량 간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도출한 대학의 역량과, 인재상에서 도출한 학생 역량은 연계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만약 대학의 역량이 설정돼 있지 않거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학과와 재학생, 졸업생의 의견을 바탕으로 역량을 도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도김 교수는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이날 역량을 도출하는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은 절대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밝혔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도입한 강원도립대학교와 경기도의 A 전문대학, 대구의 B 전문대학의 사례를 비교해 설명하며 그는 “이 대학들의 역량 도출 방법 사이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저마다 양식이 달랐다”고 말했다.

정답이 없기 때문에 역량을 도출할 때 구성원간의 합의와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구성원 간의 소통을 통해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대학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지 정하고 실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며 순서와 의견수렴 방법, 횟수, 검증 방법까지 구성원의 합의를 통해 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 밝혔다.

역량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김 교수는 “우리 대학의 경우 처음에는 진단문항만으로 설문지를 구성했다. 그러나 검토 결과 문항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왔다. 그래서 하위 역량별로 상황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문항을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담당하는 조직 역시 대학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했다. 강원도립대학교와 경기도의 A 전문대학, 대구의 B 전문대학의 경우 △교육혁신원 △IR센터 △교양직업교육과정지원센터 등 각기 전담 조직이 상이했다.

그는 “각 대학이 비교과를 어떤 점에 역점을 두고 운영하느냐에 따라 담당 조직이 다를 수 있다”면서도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한다면 비교과 교육과정을 전담하는 조직이 구성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