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열 고려대 연구기획팀장

유신열 팀장
유신열 팀장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람을 통해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 가고 있다. 대학 사회도 비상이다. 졸업식과 입학식 행사가 모두 취소되는 것은 물론, 거의 모든 대학이 개강을 2주 이상 연기하고 이후 2주는 비대면 강의를 시행할 예정이다. 학사 일정을 늦추고, 건물을 통제하고, 방역하고, 국내로 유입되는 유학생을 관리하는 일련의 행정적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이렇게 한 달을 버틴다고 대학 캠퍼스가 예전의 활기찬 모습으로 되돌아올 것 같지는 않다. 어쩌면 한 학기, 아니 한 학년을 버텨야 할지 모른다. 대학이 관료적 대응만으로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대학생들이 학교에 와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강의를 듣기 위해서다. 교수가 강의실과 같은 한 장소에 학생들을 모아놓고 지식을 전수하는 방식은 서양대학이 출현한 중세시대부터 이어져 온 수업 방식이다. 바이러스 위기 상황에서도 다른 대안없이 강의실 수업 원칙을 벗어나지 못하는 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다.

첫 번째는 정부와 대학 관료의 강력한 규제다. 원격대학과 일반대학으로 구분하고, 일반대학의 원격강의를 일정 비율 이하로 제한하고,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수업방법은 모두 규제를 받는다. 이는 교육의 질을 ‘관리’하려는 관료적 관점에서는 ‘목적’이지만 학문적 관점에서는 하나의 ‘수단’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료적 규제는 대학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곳곳에서 세밀하게 작용한다.

두 번째는 대학의 폐쇄성이다. 대학은 국내는 물론 세계 어디든 우리 가까이에 존재한다. 하지만 대학생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학생은 수많은 대학 중 소속 대학 한 군데만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학생은 소속 대학에 가야만 강의를 들을 수 있고, 그 학교 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수 있다. 대학은 산학협력은 물론 지역사회를 넘어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플랫폼이 되겠다고 한다. 하지만 대학은 학생들에게는 유독 인색하다. 국내 대학 간에는 더 심하다. 특정한 대학과만 학점교류를 아주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서울의 공유대학 실험도 거의 구호에 그치고 있다. 대학들은 학생들을 위한 공유 플랫폼을 확장하기보다는 담장을 높이 쌓고 서로 경쟁하는 관계에 익숙해져 있다.

전 세계가 실시간으로 연결돼 있고 무한대의 지식이 한 손에 들려있는 글로벌 시대에 학생들은 강의실이라는 로컬에 갇혀있다. 혁신은 강의실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 중심에는 교수가 있다. 정부와 대학 본부가 지금 이 위기 상황을 관료적으로 해결해주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대학은 학문의 자유를 가지고 있고, 그 자유는 교수에게서 나온다. 지금은 전통적인 강의실 교육이 아닌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그것이 대학이 지금의 바이러스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궁극적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많다. 교수가 수강한 학생들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한 교육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 학생이 아직 멀리 고향이나 해외에 있다면 우선 학생 가까이에 있는 대학의 특정한 강의에 들어가서 수업을 듣도록 할 수도 있다. 책이나 논문을 읽도록 지도할 수 있다. 그렇게 공간적 제약을 넘어 ‘진리의 커뮤니티’(≪가르칠 수 있는 용기≫에서 인용함)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위기는 곧 기회다. 이 위기를 통해 대학 교육 혁신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만 명을 위한 행정 정책보다 한 명의 교수가 한 명의 학생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고, 행정은 그 뒤를 지원하는 구조가 돼야 한다. 그래야 대학의 목적이 수단을 필요로 하는 정상적인 관계로 환원된다. 지금이 관료적 틀 속에서 벗어난 학문의 자유가 필요한 시점이자 대학 혁신의 기회다. 필자도 그 길에 함께 할 것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