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복지부’ ‘해수부’ 등 세종청사 근무 공무원 확진판정
하룻밤 사이에만 7명 무더기 확진 판정 ‘충격’
“하나로 연결된 ‘용(龍) 모양’ 건물…전염병 앞에서 아킬레스건으로”

정부세종청사 부처 배치도(사진=정부청사관리본부)
정부세종청사 부처 배치도(사진=정부청사관리본부)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교육부에서도 소속 공무원의 코로나19 확진 판정이 나오며, 정부세종청사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전부터 제기됐던 세종청사의 건물 구조와 부처 배치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하룻밤 사이에만 7명의 무더기 확진 사례가 나온 데에는, 교육부를 포함한 모든 부처가 하나로 연결된 건물 구조를 공유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청사관리본부에 따르면 12일까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세종청사 근무 공무원은 모두 9명이다. 지난 7일 세종1청사 10동에 근무하는 보건복지부 직원 1명을 시작으로, 10일에 5-1동 해양수산부 공무원 1명, 11일 해수부 부부공무원 등 4명, 교육부 고등교육정책관 공무원 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특히 교육부는 11일 소속 공무원의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전달받은 즉시, 소속된 실의 3개국 직원 약 100명 전원을 자택에서 대기하도록 조치했다. 최근 확진자와 회의, 식사 등으로 밀접접촉한 경우도 마찬가지 조치를 내렸다.

세종청사 인근 민간건물에 입주한 인사혁신처 직원 1명과 대통령기록관 직원 1명까지 합치면 세종시에서 근무하는 정부부처 공무원 확진 사례는 11건으로 늘어나게 된다.

문제는 ‘그렇다면 세종청사에서 왜 이토록 많은 확진자가 한꺼번에 쏟아졌나’라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세종청사의 기형적인 건물 구조를 꼽는다. S자로 용의 모양을 한, 길게 늘어선 건물 구조가 이번 코로나19 충격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지방 거점국립대 J 교수는 1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세종청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동선이 늘어날 수밖에 없게 건물이 지어졌다”며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구조에만 꽂혀서, 다른 부분들을 놓치게 된 결과가 이번 코로나19 무더기 확진으로 돌아왔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J 교수는 이어 “전염병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취약점을 드러내긴 했지만 평소에도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을 것”이라며 “사람 심리상 전자메일보다는 직접 전달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이 든다면 직접 방문해 논의할 것이다. 그런 부분에서 이렇게 동선이 늘어나면 민원처리나 행정처리 속도가 더뎌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교육부가 위치한 14동에 인접한 부처로는 문화체육관광부(15동)과 산업통상자원부(13동) 등이 있다. 예컨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한국예술종합학교’나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가 깊은 ‘한국산업기술대’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교육부와도 얽혀 있을 수밖에 없는 교육기관이다. 연관 부처이자, 거리상으로도 인접 부처이기에 이들 정부 부처 해당 공무원들의 동선이 겹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청사 내 근무자 가운데 확진자는 앞으로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해수부와 복지부 등 확진 판정이 이미 나온 시점에 각 부처 확진자와 접촉한 근무자들의 코로나19 검사가 아직 진행 중이며, 감염 경로 역시 불분명한 점이 불안함을 증폭시키고 있다.

국가안전에 미치는 중요도가 가~다급 가운데 최고 수준인 ‘가’급 중요시설로 분류되는 세종청사는 전국 11개 정부청사 중 최대 규모다. 공무원만 약 1만20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여기에 직원과 출입기자 등 상시 출입인원수까지 더하면 1만5000여 명도 바라볼 수 있다.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세종청사 방역 수위를 계속 높여가고 있다. 앞으로 감염자가 더 나올 경우 최대 규모의 정부청사인 세종청사의 ‘셧다운’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창섭 정부청사관리본부장은 “사람이 많이 모일수록 감염 위험 역시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재택근무를 더욱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청사 내 상주인원수를 줄여야 하고, 심할 경우 외부인 출입을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