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국 경희사이버대 교수(한국원격대학협의회 15년사 발간위원장)

교육부가 9월 23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사이버대학의 사이버, 디지털이란 명칭을 뗄 수 있게 한 결정에 격렬하게 환영한다. 사이버대 20년 노력과 성과가 인정받는 것같아 모든 구성원들은 교육부의 미래지향적인 교육정책에 반갑게 반응하고 있다. 물론 이 결정의 이면에는 오프라인 대학의 100% 온라인교육이 가능하게 한 것에 따른 사이버대의 반발을 무마한 것이고,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사회 변혁에 교육부의 진취적인 선택과 결정임을 잘 알고 있지만, 이제라도 제대로 판단한 것이다. 그동안 대한민국의 사이버대학이 우리 사회에 엄청난 역할을 했음에도 2류 교육, 보조 교육이라는 평가에도 묵묵히 제 역할을 수행한 것에 대한 긍정적 평가라고 생각한다.

또한 오프라인 대학과 공동학위가 가능하고 원격대학에도 박사과정 개설이 가능하게 한 것은 금상첨화의 결정이다.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시간적 제약 때문에 박사학위취득을 은퇴 이후로 미뤘던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이다. 인생 100세 시대에 이모작, 직업을 두세 번 바꿀 수 있는 교육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교육은 사람들에게 비전과 희망을 줘야 한다. 의지와 노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삶과 직업을 바꿀 수 있어야 하는데 이제까지 대한민국의 국민은 교육부가 쳐 놓은 각종제약에 따라 그 희망을 늦추고 포기하고 살아왔다. 특히 해외 인재들에게 고국의 고등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받을 수 있게 된 점은 고무적이다. 물론 100% 온라인교육만이 능사는 아니고 보완해야 할 것이 많다. 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사이버대학원에는 미리 공지된 학사일정에 따라 오프라인 세미나와 관광지 답사는 필수적인 대면의 오프라인 수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때는 전세계·전국에 포진돼 있는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비행기 타고 모인다. 동기와 선후배, 교수들 얼굴을 보고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모인다. 사람이 그리운 것이다!

이제 교육부가 1000억원이란 엄청난 금액으로 대학의 원격교육인프라를 지원하려고 한다. 이 천금 같은 돈이 정말 학생들의 원격교육 불신을 해소하고 미래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쓰여야 하기에 다음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먼저, 대학의 모든 결정권을 가진 총장들의 마인드가 바뀌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원격교육을 일시적 방편으로만 생각하고 코로나가 물러나면 원래의 오프라인 교육으로 환원될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을 버려야 한다. 이제 한국의 고등교육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힘든 수업방식이기는 하지만 온라인교육의 장점을 교수와 학생들이 알아버렸기에 상시 교육시스템으로 대학 캠퍼스에 정착시켜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교수가 진취적인 블렌디드 교수방법을 적용하고 싶어도 대학의 시스템과 학사구조가 원시적인 교육방법을 고수하면 그대로 묻혀 버린다.

코로나19가 창궐했을 때 이미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운용한 사이버대학과 카이스트, 울산대는 아무 이상이 없이 학사일정을 진행했지만 대부분의 대학은 대혼란을 겪지 않았는가? 이제 교수들도 온라인 콘텐츠로 특화할 과목을 선정해야 하고, 학생들도 원격교육의 효율성을 제대로 활용하기 바란다. 제대로 된 온라인교육을 위해서 제일 먼저 개선할 것은 교수 혼자서 강의교안 작성, 녹화, 촬영편집까지 해야 하는 무식한 방식이다. 제대로 된 원격교육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교수자, 교수설계자, 디자이너, 촬영기사의 4인 1조가 필수라고 제도적으로 명문화해야 한다. 그래야 제대로 된 온라인용 콘텐츠가 생산되고 이것이 교육의 질적 수준을 체크하는 기준이 돼야 한다.

이번 결정이 온·오프라인이라는 대한민국의 이분법적인 교육 인식을 개선하고 통합의 물꼬가 터지는 시발점이 됐으면 한다. 유은혜 장관의 교육부가 보편적 평생교육사회 구현을 적극 지원 하겠다는 의지에 다시 한 번 열렬한 지지를 보낸다. 이제 국회에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원격교육진흥법의 제정을 심도 있게 고민해서 잘 키운 엘리트 하나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명제를 실현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