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부산지역 6개 대학 ‘공유대학’ MOU체결, 지자체 도움 아래 공동수업 운영
공유대학·학점교류 ‘지지부진 선례’, 신동석 단장 “작은 것부터 시작”

지난 9월 11~12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부산지역 6개 대학 공유대학 플랫폼 구축 MOU 현장. (사진= 동의대 제공)
지난 9월 11일과 12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부산지역 6개 대학 공유대학 플랫폼 구축 MOU 현장. (사진=동의대 제공)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거리·시간의 물리적 장벽을 넘어서는 ‘공유대학’이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언택트 교육의 문이 활짝 열린 만큼 그간 지지부진했던 공유대학이나 학점교류 모델 등의 선례를 뛰어넘은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부산지역 6개 대학은 9월 ‘공유대학 플랫폼 구축을 위한 워크숍’을 열고, 공유대학 사업 추진을 위한 의견을 모았다. 이후 6개 대학은 ‘부산권 LINC+ 공유대학 플랫폼 구축 MOU’를 체결했다.

6개 대학이 추진하는 공유대학 플랫폼은 각 대학 LINC+사업단이 주축이 된 모델이다. 지자체의 도움을 받아 6개 대학이 하나의 공동 수업을 운영한다. 내년 1학기부터는 ‘AI기반 창업마케팅’ 과목을 개설한다. 부산시는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 공간을 대여해주며, 대학들은 교수 1명씩을 투입해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AI융합 학과를 공동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임건 동의대 LINC+사업단장은 “각 대학 LINC+사업단에 흩어져 있는 산학협력 관련 기술과 교육콘텐츠, 노하우 공유로 LINC+ 산학협력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필요가 있었다”며, “공유대학 플랫폼 지원 체제 마련은 물론 공동 교육과정, 기업 지원 콘텐츠 등을 적극 개발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신동석 동명대 LINC+사업단장(동명대 부총장)은 “링크 사업은 매년 평가를 했다. 대학들은 서로를 경쟁의 대상으로 여겼다. 결코 협력관계가 아니었다”며, “하지만 부산은 이미 창업생태계 조성이나 청년 창업에 있어 시의 정책이 뒷받침 돼 있는 곳이다. 각 사업단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공유대학 모델) 진행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공유대학 지원은 지역 내에서 벌어지는 작은 이벤트에 그치지 않는다. 교육부도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학의 모델 중 하나로 공유대학 지원을 강조한 바 있다. 9월 9일 교육부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대학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등 공유성장형 고등교육생태계를 구축하고, 혁신공유대학체제를 통한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재를 양성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먼저 지역 내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추진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지역대학과 지역 혁신을 함께 추진하는 전략이다. 대학 간 공유·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개선하는 ‘고등교육 규제 샌드박스’도 도입한다. 대학의 교육과정, 시설 등 자원공유 실적을 대학 기본역량진단에 반영해 대학간 협업과 공유를 촉진하는 진단모델도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신기술 혁신교육대학 지원사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지능형) 반도체,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분야의 교육역량을 보유한 대학들이 특화된 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공유하는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이 교육과정 혁신을 기회로 삼아 대학간 공유와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고등교육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교육 당국도 공유대학 모델을 미래 교육 모델의 하나로 인식하고 적극 추진하려 움직이는 중이다. 일부 발 빠른 지역에서는 대학과 대학 간, 지자체와 대학 간 공유모델을 구상 중이거나 진행 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공유대학 모델의 실효성을 고민해 봐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세부적인 시스템은 다르지만 2017년 7월 공식 오픈한 서울지역 공유대학 플랫폼은 딜레마에 빠져있다. 서울 지역 대학 간 수업과 학점교류를 위해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출범했지만, 2년 넘게 뚜렷한 성장이나 변화가 없어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크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 별로 시스템이 다른데 기존 시스템과 추가적으로 연동되는 시스템을 개발이 진행돼야 하는 것들이 있어 진척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토로했다.

부산 지역 공유대학도 이런 부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신 단장은 “그동안 온라인 규제에 갇혀있던 것도 원인”이라며, “이번 코로나19가 대학의 족쇄를 풀어줄 수 있는 해결책이 됐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신 단장은 부산 지역 대학들의 차이점에 대해서 강조했다. “부산의 6개 대학은 거창한 시작보다 물꼬라도 틔우자는 생각으로 공유모델을 시작했다. 시작은 미미하겠지만, 오히려 향후 모델을 확대하는 데 있어 더 적합할 것이란 공감대가 있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