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공동체가 발족한 이래로 유럽은 유럽공동체 내에서 자유로이 통용될 수 있는 학위시스템을 통일하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즉 유럽 전체에서 융통성을 가진 학위를 공통으로 만들려는 대학의 혁명이 시작되고 있다. 이는 지난 1991년 유럽공동체 29개 나라의 교육부 장관들이 이태리의 볼로냐에 모여 교육을 통해서 유럽의 힘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한 데서 비록됐다. 리사본에서 부다페스트까지, 오슬로에서 마드리드까지 대학생들은 미래에 같은 평가 조건에 의해 같은 학업 조건 하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학업을 마친 학생들이 그들의 학점으로 유럽 어디서든지 똑같이 인정받도록 하자는 것이 당시의 중론이었다. 즉 ‘학업의 경계선도 없애자는 것’이다. 지난 2001년에 프라하에 이어 지난 9월 18일과 19일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유럽공동체 40개의 나라의 교육부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그에 관한 더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었다. 이 회의의 목적은 유럽 대학들의 포괄적인 개혁을 위한 구속력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즉, 유럽공동체 내의 인력 시장을 위한 하나의 학위표준을 만드는 구체적인 단계가 베를린에서 시작된 것이다. 베를린 회의의 결과에 의하면 2005년까지는 모든 대학들이 미국식 학위의 두 단계 시스템인 베츨러와 매스터 학부제 운영을 시작해야 한다. 연구를 더 하고 싶은 학생은 매스터 과정 이후에 박사 과정을 하게 된다. 베츨러와 매스터 과정이 끝나면 ‘디플로마 수플레멘트‘ 라는 졸업장을 받게 되는데 여기에는 학생들이 유럽공동체 어디를 가나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학위의 내용이 적히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듣는 모든 강의는 유럽 성적결산 시스템인 ECTS (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를 통해서 성적이 처리된다. 또한 균등한 수준의 교과 과정의 질을 보유하기 위해서 시험 기관을 두어 통제하며, 장학금 제도 역시 유럽공동체 국가들의 대학이 공유한다는 것이 베를린 회담 결과의 골자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유럽공동체의 대학시스템 통일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점에 부딪히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재정적인 빈곤. 현재 독일 대학들이 이러한 개혁을 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새로운 학부 시스템에 관한 대학의 반응 역시 시큰둥하다. 보수적 교수들은 이 제도의 시행을 계속 회의적으로 간주하며 미루고만 있었다. 그들은 디플롬과 마기스터로 이루어진 졸업 제도를 계속 유지하기를 주장하며 독일 대학 학부제의 미국화를 경고했다. 아직 9천개가 개가 넘는 학과들 중에서 3백개도 채 안되는 학과들 만이 평가기준을 새로이 바꾸었다. 대학생들도 이 새로운 제도를 통해 다른 나라에서 학점을 지지부진하게 인정받고 외국에서 한 두 학기를 보내는 것에 관해 별 관심이 없다. 이러한 독일 대학 내의 비판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외교적으로는 유럽공동체의 결정에 따라 대학시스템의 체계를 바꾸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최근 훔볼트 대학에서 열린 포럼에서 학생들은 “독일정부는 학생들을 생각하지 않고 단지 학위를 취득하는 기간을 줄여서 교육비를 절약하려고만 한다”고 비난하면서 제도의 개혁은 학교 관계자들의 동의를 얻어서 진행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 대학의 항의는 사회적으로 동감을 얻고 있다. 그러나 빠른 졸업에의 강요가 적었던 지금까지의 독일 학부제는 이제 시험대가 올랐다고 할 수 잇다. 유럽공동체의 학위제도 개혁을 통해서 독일 대학생들의 재학기간은 어쨌든 단축될 전망이다 . (슈피겔)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