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학교육의 글로벌 혁신방안’ 발표

공학교육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현재 50개 대학에 설치된 공학교육혁신센터가 2010년까지 100개 대학으로 확대된다. 공대 산업기여도 평가도 3년 주기로 실시된다.


정부는 27일 오전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제1회 국가인적자원위원회’ 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공학교육의 글로벌 혁신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기존에 추진해온 수요자 중심의 공학교육 혁신정책의 연장선상에서 FTA 등 새로운 정책 수요를 반영해 개방형 공학교육 혁신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FTA시대의 경쟁환경에 적합한 기술인재상으로 △국제적 이동성이 높은 글로벌 기술인력 △다학제 기반의 융·복합 지식형 기술인력 △공학과 경영지식을 두루 갖춘 경영공학형 기술인력을 제시했다.


공학교육의 융합화·국제화 프로그램 확충 방안으로는 융합 기술동향, 융합 신산업 분야 및 융합 기술인력 수요 등을 조사·분석해 대학에 제공하는 등 융합교육프로그램 개설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공대, 경영대 등 여러 전공과정 학생 간의 공동 팀 프로젝트와, 해외 공대생과 우리 학생간의 국제 공동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각 대학의 우수 강의록을 웹에 공개해 공학, 경영학, 인문사회학 등 학제 간 지식 공유를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산업계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차세대 유망 공학인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우리 기업의 해외 현지법인 인턴쉽, 선진 공대 연수 프로그램 등도 세부 추진계획으로 확정됐다.


산학협력 파트너쉽 정착을 위해 ‘KORUS Tech’ 프로그램 등 국내외 우수 인재를 활용한 두뇌순환형 산학공동연구 지원을 집중 추진한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이 강점을 갖고 있고 협력이 필요한 기술을 중심으로 양국 기업·대학·연구소의 공동 R&D과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또 수요자 중심의 공학교육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2010년까지 공학교육혁신센터를 100개 대학으로 확대해 공대 특성화를 촉진하고 수요자 중심의 공학교육프로그램을 구축키로 했다.


이와 함께 산업계의 관점에서 공과대학의 산출물이 산업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3년 주기의 평가를 통해 공학교육의 산업현장 적합성 제고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한편, 대통령이 위원장인 국가인적자원위원회는 인적자원개발기본법이 개정·시행됨에 따라 교육부총리가 위원장인 인적자원개발회의가 격상된 것이다. 정부위원 15명과 민간위원 13명으로 구성됐다. 대학가에서는 노동일 경북대 총장, 이배용 이화여대 총장, 한숭동 대덕대학 학장, 나간채 전남대 교수, 임경순 포스텍 교수 등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