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과학 1위→11위' 놓고 교육부-대학가 '입씨름'

(★ 아래 표 있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간 비교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과학 실력이 2000년 1위에서 지난해 11위로 급락했다. 교육부가 이와 관련한 해명에 진땀을 빼고 있다. 일각에서 참담한 과학 교육 현실이 수업시간을 줄인 7차 교육 과정 탓이라고 몰아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4일 교육부는 OECD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국제학력평가) 평가 결과를 공개하면서 상위권에 오른 '읽기'와 '수학' 성적만을 유독 강조했다. 반면 올해 11위(OECD 비회원국 포함시 7-13위권, OECD 30개국 대상 5-9위권)로 떨어진 과학분야 성적에 대해서는 모호한 해명으로 일관했다. 과학 분야 성적은 2000년과 2003년 PISA 평가에서는 각각 1위와 4위에 오른 바 있다.

PISA 평가는 의무교육이 끝나는 만15세 학생(고교1학년)을 대상으로 3년마다 진행되며, PISA 2006 평가에는 OECD 회원국 30개국을 포함해 총 57개국에서 40여만명이 참여했다.

교육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읽기 능력이 OECD 국가 중 1위, 수학은 1-2위 등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상위 5%를 기준한 최상위권 순위에서도 읽기 1위, 수학 2위로, 3년 전인 2003 PISA평가(읽기 7위, 수학 3위)에 비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이어 과학이 PISA 2000(1위)과 2003(4위)에 비해 뒷걸음질한 점을 시인하고,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육부는 "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일반적 가치는 긍정적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교육계 일각에서는 과학 실력이 추락한 것은 '7차 교육과정' 탓이라고 교육부를 몰아붙이고 있다. 과학기술부 산하 '수학 과학교육 경쟁력 위원회' 위원장이자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 연합' 공동대표인 민경찬(수학과) 연세대 교수는 한국이 2006년 PISA 과학부문에서 조사대상 57개국 중 11위로 추락한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민 교수는 "같은 조사에서 2000년 1위, 2003년 4위를 한 것은 선행학습이나 과외를 통해 만들어진 점수였을 뿐 안정된 과학교육 토대 위에서 이룩한 성과가 아니다"라며 "이번 평가가 예전에 비해 응용력을 묻는 내용으로 바뀌면서 금세 밑천이 드러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비판에 교육부는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수업시수를 종전대비 2시간 줄인 것은 맞지만 과학수업시수가 OECD 평균보다는 여전히 높다"며 맞서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과학 교육 하락 요인을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최상위성적(상위5%)을 기록한 학생비율이 이전 조사에 비해 낮아졌고, 사회 전반적 이공계 기피 영향력으로 과학 성적이 떨어진 것 같다"고 해명했다.  바로 하루 전, 이공계 출신 취업률이 호조세를 보인다며 사회 전반의 이공계 기피 현상이 해소됐다고 자화자찬한 지 하루만에 이공계 위기를 재차 시인한 꼴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