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강화·위기 극복 위해 협력 모색 분주

무한경쟁시대, 대학들의 선택은 ‘협력’과 ‘동반’이다. 신입생 유치 등 생존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지만 대학들은 ‘협력’과 ‘동반’을 확대하며 경쟁력 강화와 위기 극복에 나서고 있다. 2009년 대학가,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대학들의 합종연횡이 뜨겁다. 
 
■‘라이벌’에서 ‘동반자’로=2006년 대학가에 한 가지 이변이 있었다. 최고 명문 여대의 자존심을 두고 라이벌로 간주되던 숙명여대와 이화여대가 교류협정을 맺었던 것. 당시만 해도 라이벌 대학들이 손을 잡는다는 것은 이례적이었기 때문에 숙명여대와 이화여대 간 교류협정은 대학가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하지만 라이벌 대학들의 파트너십 구축은 이제 더 이상 이변이 아니다. 전통의 맞수 고려대와 연세대도 ‘경쟁자’에서 ‘동반자’로 새로운 관계를 구축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경영대들이 오는 2학기부터 교차강의와 교차수강을 시행키로 한 것은 물론 법 시행령이 개정되는 대로 복수학위제도 실시할 방침이다.

고려대와 연세대가 손을 잡자 타 명문대에도 영향이 미치고 있다. 특히 서울대의 경우 고려대와 연세대의 공동행보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서울대와 서강대가 지난달 21일 학술교류 협정을 체결한 데에는 고려대와 연세대의 행보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라이벌 대학들이 손을 잡고, 명문대들도 독자 행보를 벗어나 공동 행보를 취하는 이유는 경쟁력 강화가 주목적이다. 손병두 서강대 총장은 “국가와 세계 인류를 위해 필요한 인재를 키워내는 일에 두 대학이 협력키로 했다”면서 “다양한 교류활동이 이뤄지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협력범위는 확대, 협력주제는 특정화=최근 대학들의 합종연횡을 통한 협력 관계는 범위는 확대되는 반면 주제는 특정화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과거의 경우 동일 지역 간, 두 대학 간 교류협정을 맺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교류 대상도 교직원·연구학술 등 포괄적이었다.

그러나 경쟁력 강화와 위기 극복을 고민해야 할 대학들은 교류 협력에 제한을 두지 않고 특정 주제 중심으로 교류 협력을 구축해야 더욱 효과적이란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교류 협력은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지역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경상대·동국대·조선대가 경남 진주·서울·광주를 아우르는 협력 벨트를 구축한 것이 대표적 예다. 

또한 동아대·영남대·조선대·원광대 등 영호남 4개 대학은 행정력 강화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이들 대학들은 매년 진행되고 있는 ‘영호남 4개 대학 총장협의회’에 이어 올해부터는 ‘영호남 4개 대학 행정직원 워크숍’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이 워크숍은 4개 대학의 행정력을 강화하고 직원 간 정보교류 등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개최 순서는 영남대(2009)·동아대(2010)·조선대(2011)·원광대(2012) 순이다.

■공동입시설명회도 분주=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중앙대·한양대 등 7개 사립대가 공동입시설명회를 처음 시작했을 당시 ‘입시카르텔’ 논란이 뜨거웠다. 해당 대학들은 사설학원이 주관하는 입시설명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학 주관 입시설명회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지만 반발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7개 사립대 공동입시설명회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7개 사립대 공동입시설명회 이후 지역을 중심으로 대학들의 공동입시설명회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주관하는 대입박람회가 있지만 지역별 대학 공동입시설명회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판단에서다.

강남대·성결대·안양대·평택대·한신대·협성대 등 경기 남부 6개 대학은 2007년 서울과 수도권 32개 고교를 대상으로 공동 입시설명회를 열었다. 동아대·부경대·부산대 등 부산지역 3개 대학들도 2007년부터 매년 마산·창원·김해·진주·울산지역을 순회하며 공동입시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부산대 관계자는 “부산 이외 지역에서의 효율적인 대학 입학 홍보로 지역 우수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공동입학설명회를 개최하게 됐다”며 “수험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대학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정성민·김형 기자 bestjsm·craigger@unn.net>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