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국립대들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과다한 판공비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본지가 단독 입수한 96년 국립대 일반회계 및 기성회 결산서에 따르면 서울대를 비롯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 등 9개 국립대가 판공비 명목으로 1년간 지출한 업무추진비는 무려 2백21억2천만여원(한 대학당 +24억5천7백만여원)이다. 특히 업무추진비 성격이 짙은 교육지원비를 포함할 경우 국립대 업무추진비는 4백억원에 이르러 대학들이 무리한 보직신설과 방만한 부서운영으로 예산을 낭비해왔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게다가 국립대 평균 업무추진비는 연세대, 한양대, 이화여대 등 +서울지역 주요 사립대 판공비 평균 5억2천8백만여원보다 무려 4.19배나 많은 실정이다.

3백68명의 보직교수를 둔 서울대는 49억7백만여원의 판공비를 지출, 전체 국립대 중 가장 많은 판공비를 지출했다. 부산대가 25억3천5백만여원을 지출, 2위를 차지했으며 충남대가 24억6천4백만여원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전북대는 23억7천3백만여원을, 경북대와 전남대가 각각 20억7천6백만여원을 지출했다. 이밖에 강원대 20억5천3백만원, 부경대 +18억6천8백만여원, 충북대 17억6천7백만여원 등 부경대와 충북대를 제외한 7개 대학이 20억원 이상의 판공비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북대의 경우 업무추진비 외에도 40억6천2백만여원을 교육지원비로 +지출, 이 부분을 업무추진비에 포함시키면 판공비는 58억2천9백만원으로 증가한다. 이밖에 다른 대학들도 5억원에서 많게는 10억원 이상의 교육지원비를 지출했다.

이에 대해 충북대의 한 관계자는 “국립대는 교육부가 정한 일정 기준에 의해 판공비가 지출되지만 기성회 예산의 판공비는 대학 실정에 맞는 결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대학마다 차이가 날 수 있다”며 “충북대의 교육지원비 중 35억원은 연구보조비 형식의 인건비가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역 주요 사립대의 경우 가장 많은 판공비를 지출한 연세대는 +9억8천6백만여원으로 한양대의 9억2천3백만여원보다 6천만여원을 더 지출했다. 다음으로 이화여대 5억1천만여원, 중앙대 4억7천8백만여원, 경희대 4억7천만여원, 서강대 4억1천2백만여원, 고려대 3억3천9백만여원, 건국대 3억1천8백만여원, 성균관대 3억1천4백만여원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