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팀-신하영 기자>

대학들은 전철 역사명에 교명을 넣기 위해 사활을 건다. 교통 편의성을 확보하는 일 외에도 적지 않은 부수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일단 ‘전철 노선도’ 자체가 대학을 홍보하는 매체로서 기능한다. 대학 이름을 역사명으로 사용하면, ‘전철역에서 가까운 대학’으로 인식돼 수험생들이 선호한다. 해당 지역의 ‘대표 대학’으로 인식되는 효과도 있다.

때문에 역명칭을 둘러싸고 대학간 갈등이 불거지기도 한다. 수도권 전철이 천안까지 연장되면서, 신창역을 두고 순천향대와 한국폴리텍대학이 벌인 유치경쟁이 좋은 예다.

최근 한국철도공사가 역 이름에 교명을 부기명으로 사용하는 대학에 사용료를 부과했다. 적자에 허덕이는 철도공사가 역사명을 포기할 수 없는 대학의 속성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철도공사는 이를 통해서라도 수익성을 제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장삿속이 엿보인다”는 비판이 많다.

역이름을 갖고 대학을 상대로 장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비판이다. 성공회대에는 ‘온수역에 부역명 표기를 원하는 다른 대학이 있다’는 점을 들어 4700만원을 요구했다. 이 대학 관계자는 “‘온수역(성공회대입구)’이라는 역명을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사용료를 냈다”고 전했다.

철도공사가 대학들에 요구한 사용료는 적게는 3300만원 많게는 5000만원에 달한다. 공사측은 수천만원에 달하는 사용료를 내지 않는 대학에 대해선, 해당 대학의 교명으로 된 부역명을 없애겠다고 한다. 또 전동차 안에서 해당 대학을 안내하는 방송도 더 이상 하지 않을 방침이다. 부역명 사용으로 홍보효과를 보는 건 대학이기 때문에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사용료를 부과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역 근처의 대학을 안내방송이나 부역명 표기로 알려주는 것은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 편의를 위한 것이다. 철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고는 궁극적으로 철도공사에 혜택이 돌아간다.

물론 철도공사의 어려운 경영사정은 익히 알려져 있다. 누적적자가 1조원 대에 달하는 철도공사로선 수익사업에 적극 나설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그렇지만, 적자에 허덕이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수천억원에 달하는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건지 묻고 싶다. 신영수 한나라당 의원에 따르면, 철도공사는 누적적자가 1조원대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4년간 직원들에게 8000억원에 이르는 성과급을 지급했다.

역 인근 대학을 안내해 주는 일에서 수익을 찾지 말고, 내부적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는 철도공사의 모습을 보고 싶다. 그것이 철도공사가 내세우는 ‘세계 1등 국민철도’라는 슬로건에 더 부합하는 모습일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