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겠습니까, 내년을 준비해야지요.”

사이버대 관계자의 목소리엔 힘이 없었다. 몇 개월을 준비했지만 모두 허사였다고, 손해가 제법 되지만 어쩌겠느냐고 한탄했다. 그는 그러면서 뼈 있는 말을 던졌다. “처음부터 이럴 줄 알았다니까.”

지난달 말 사이버대 특수대학원 설립인가 심사결과가 발표됐다. 6개 사이버대가 24개 전공을 신청했고, 이 중 1개 대학 8개 전공만 설치인가를 받았다. 결과 발표 직후에 크게 반발하던 사이버대는 이제 수긍하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시끄러울 것이라 예상됐던 이슈는 이렇게 잠잠해졌다.

겉으로 보기엔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 같아 보인다. 그렇지만 속내를 들춰보면 그렇지 못하다. 대놓고 불만을 제기하지 못할 뿐이다. 사이버대의 속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사이버대 특수대학원 설치기준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 4월. 사이버대 관계자가 한 명도 참석하지 못한 관계기관 회의를 거쳐 나온 잠정기준은 생각보다 엄격했다. 사이버대는 이에 대해 기준완화를 요구했다.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할 경우, 좀 더 적은 등록금으로 대학원을 다닐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가 무색해지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교과부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이 기준은 최종안으로 결정됐다.

기준이 엄격했다는 볼멘소리보다도 불만의 이유는 사실상 다른 곳에 있었다. 주인공인 사이버대가 처음부터 배제된 채 교과부가 일방적으로 잣대를 만들었다는 지적이다. 잠정기준이 마련되기 전부터 심사결과 발표까지 사이버대의 자리는 없었다. 원격대학원설립추진준비위원회의 한 연구위원은 이를 두고 “사이버대를 위한 기준을 만든 사람들 중 사이버대 관계자는 한 명도 없었다는 자체부터가 불만”이라고 토로했다.

교과부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물론 교과부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다. 그렇지만 아무리 엄격하게, 완벽하게 준비했어도 좋은 소리는 듣지 못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기준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이버대 인사들이 참여하고, 소통 속에서 기준이 마련됐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