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팀 - 김형 기자>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입시비리를 뿌리 뽑고 싶었습니다. 이번 사건이 그 계기가 되겠죠. 결국 대학의 의지에 달린 문제입니다”

지난 2008년 미대 실기시험장에서 행해지는 입시비리를 구체적으로 폭로해 파장을 일으켰던 김승연 홍익대 판화과 교수의 말이다. 입시비리 자체 뿐 아니라 ‘솜방망이 처벌’. ‘비리교수 승진’ 등 홍익대의 안이한 대응으로 인해 지난 2년여 간 세간의 비난을 샀던 이 사건은 이제 일단락을 맺게 됐다.

검찰이 지난 5일 의혹을 받았던 홍익대 미대 교수 7명 전원에 대해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했기 때문이다. 검찰 관계자는 “계좌추적과 참고인 조사 등 가능한 모든 조사는 다 했다” 면서 “혐의를 입증할 만한 뚜렷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형사 처벌까지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홍익대 자체에서 이 교수들에 대해 정직, 감봉 등 징계가 이뤄진 만큼 미대 입시에서 비리가 행해졌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미술대학원 면접 전형 실기시험장에서 교수들이 귓속말이나 눈짓으로 특정 수험생의 번호를 퍼트리고, 실기 작품에 특정 표시를 해 점수를 높였다는 김 교수의 구체적인 고발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이제 검찰조사가 마무리된 만큼 홍익대를 향한 모든 비난과 의혹은 뒤로하고 입시비리 근절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다. 홍익대는 이런 고민 때문인지 미대 입시에서 아예 실기시험을 폐지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암기식 손기술만 습득한 학생이 아닌 창의력 있는 인재를 뽑겠다는 명분이지만 홍익대가 입시비리로 인해 쏟아지는 비난을 비켜나가기 위한 대책이라는 분석도 있다.

홍익대 미대는 이제 제도의 변화 뿐 아니라 비리 근절의 의지도 보여줘야 한다. 우리나라 최고로 꼽혀왔지만 입시비리의 온상이라는 비난을 샀던 홍익대 미대는 이번 사건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그간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라도 입시비리 내부 감독 시스템을 정비하고 비리를 저지른 교수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시는 비리 교수들을 정교수나 학과장으로 승진시키는 행태를 보여선 안 될 일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