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교감 통해 대입정책 결정토록 할 것”

전국대학입학처장협의회가 128개 대학 입학처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4~26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정기총회를 가졌다.

이번 총회에선 △대학 선진화 정책방향(이주호 교과부 제1차관) △입학사정관제 향후 추진방향(양정호 대교협 입학전형지원실장) △서울대·연세대·포스텍의 입학사정관제 사례발표가 있었다. 특히 최근 서류조작 논란으로 경찰 수사가 진행됐던 ‘입학사정관제’가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이날 정기 총회에서 신임 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김권섭 전남대 입학관리본부장(약대 교수·사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주요 현안과 앞으로의 계획을 들어봤다. 김 회장의 공식임기는 지난 27일부터 1년간이다.

- 이번 정기 총회에서 부각된 주요 현안은 무엇이었나?

“입학사정관제가 주된 관심사였다. 국가적으로 수시에서 입학사정관전형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이를 시행하지 않는 대학에선 제도 도입을, 이미 시행중인 대학들도 제도 정착을 고심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도 도입과 정착은 대학으로선 비용이 필요한 부분이다. 입학사정관을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비용’ 전형에 해당한다. 정부 지원을 받지 않는 대학은 어려운 점이 있다는 얘기다. 때문에 이번 총회에선 ‘수시모집이 시작되는 시점을 앞당겨 기간을 늘리면 대학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 제시가 있었다. 수시모집 기간이 길어져 서류심사 할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 입학사정관 채용 부담이 덜어지기 때문이다.”

- 최근 경찰이 입학사정관제 부정의혹을 수사한 바 있다. 향후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을 기하는 게 제도 정착의 관건이 될 터인데.

“대교협과 대학이 공동으로 입학사정관제의 검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서류조작’ 문제에 공동 대처해 나가자는 공감대가 있었다. 우리 사회가 인맥을 따지는 사회이고, 언론에서도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갖고 보도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중요한 건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이 기존 제도를 통해 들어온 학생 보다 특성과 잠재력을 갖춘 학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면은 최대한 방지하고, 기존 제도보다 좋은 학생들이 들어온다는 장점이 부각돼야 입학사정관제가 정착될 수 있다.”

- 대학입시의 경우 국립과 사립, 수도권과 지방 대학 간 시각차가 점차 커지고 있다. 앞으로 이를 어떻게 조율해 나갈 생각인가.

“대학입시는 수도권과 지방 간 이해관계가 민감하게 갈리는 사안이다. 지역마다 지역협의회가 있기 때문에 지역협의회에서 개별단위 대학의 의견을 수렴하고, 협의회장이 이를 취합해 대교협과 교과부에 잘 전달되도록 하겠다. 무엇보다 현장을 목소리가 중시돼야 한다. 수시를 확대한다든가 수능과목을 축소한다든가 하는 문제는 각 대학 입학처장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문제다. 정책 하나 하나가 입시에 미치는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이다. 때문에 협의회장의 역할은 대학 현장의 요구와 의견이 정책 수립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 정부가 출범 초기 대입업무를 대교협에 이관하고 대입자율화를 추진해 왔다.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향후 대입관련 정책에서 바라는 점이 있다면.

“대입 자율화는 대학이 소신을 갖고 입시정책을 펴나갈 때 온전히 이뤄진다. 그러나 이를 제도화 하고 정량화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자율화와 상충되는 규제가 발생한다. 특히 교과부가 대학에 대한 지원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대학들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원하는 바는 좀 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는 것이다. 협의회도 대학 입학처장들의 의견을 전하는 가교역할에 충실하겠다.”

- 최근 ‘전국대학 입학사정관협의회’가 출범했다. 앞으로 이 단체와 협의할 부분이 있다면.

“입학사정관제 도입 취지는 공교육을 정상화 시키고 사교육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 도입이 비용문제와 직결되는 만큼, 입학사정관들의 신분이 불안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채용된 상태인데 이를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사교육 시장으로 옮기는 사정관들이 늘어나는 등 부작용 소지가 있다. 입학사정관협의회와 이런 부분에 대해 협의하고 문제점을 함께 풀어나갔으면 한다.”

- 임기 1년 동안 어떤 점에 가장 주안점을 둘 생각인가?

“앞서 얘기했듯이 각 회원대학의 이야기를 대교협과 교과부에 잘 전달해 입학정책을 결정할 때 일방적 결정이 아니라, 대학과의 교감 속에서 정책방향이 결정되도록 하겠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