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부연기, 현물 납부 등 등록금 인상 반발

대학가가 꺼지지 않는 등록금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학들은 올해 등록금을 책정하면서 대부분 5~7%의 인상을 단행했다. 하지만 학생들이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며 학교 측의 등록금 고지 이후에도 인상 철회를 요구하고 있어 한 동안 대학가에는 등록금 인상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현재 학생들은 등록금 납부연기, 현물 납부 등을 통해 등록금 인상에 반발하고 있다. 홍익대, 상명대 등 서울지역 17개 대학 학생들은 등록금 동결 등을 위한 공동행동을 선언했다. 이들은 △신입생 등록금 환불요구서 받기 △서울지역 교육대책위 결성 △3월31일 전국대학생 공동행동의 날을 진행할 계획. 이미 명지대, 숭실대, 홍익대 등 일부대학에서 등록금 납부연기와 민주납부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경희대와 중앙대 등에서도 등록금 납부 연기를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인하대는 최근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며 학생회 소속 학생들이 총장실을 점거해 얼마 뒤 점거를 풀기도 했다. 부산대 총학생회는 등록금 인상에 항의해 지난 22일 대학본부 직원들의 출근을 저지한 것은 물론 24일에는 등록금 현물납부도 진행했다. 이 같은 등록금 갈등은 대학발전계획, 로스쿨 유치 준비 등 산적한 과제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대학 측과 등록금 인상보다는 법정전입금 확충, 정부의 교육비 증액 등이 우선이라는 학생들의 입장이 부딪히면서 불거지고 있다. 여기에 비록 학생들이 어느 정도 인상을 인정한다할지라도 인상률이 충분한 협의 없이 학교 측의 일방적인 결정으로 정해질 경우에도 학생들의 반발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의 경우 일부 대학에서 등록금 인상 후 인상분을 환원한 전례도 있어 처음부터 적절한 인상폭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게 학생들의 주장이다. 현재 대학들은 등록금 갈등을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과 학생들의 이견차가 커 협상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반복되는 등록금 갈등을 근본적으로 풀 수 있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개강을 앞두고 있는 대학가, 등록금 인상 후폭풍이 언제나 수그러들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