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사업에 창업역량 반영될 것… 세부안 논의중

“현행 대학 지원사업 평가는 ‘취업률’을 중시한다. 취업률 지표에 잡히지 않아 창업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대학이 창업 활성화에 힘쓸 수 있도록 창업 역량도 평가지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 교육과학기술부와도 큰 틀에서 합의를 봤다. 구체적 논의만 남았다.”

김영식 창업진흥원 이사장(금오공대 교수)은 대학생 창업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좋은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일자리가 충분했던 시절엔 취업에 포커스를 맞추면 됐지만 지금은 아니란 얘기다. 김 이사장은 ‘블루 오션’이 될 창업에 눈길을 돌릴 것을 권유했다.

“대학 진학률이 80%를 웃돌고 있지만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40% 수준에 불과하다. 나머지 60%가 갈 곳을 만들어줘야 한다. 전통적으로 대학은 연구를 중시해 왔지만, 이 정도라면 학생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직접 나서야 하지 않겠는가. 대학 인재풀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연결되면 일자리 고민도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본다.”

그는 창업진흥원을 우수 기술력을 지닌 예비 창업자 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전문기관으로 소개했다. 김 이사장 스스로도 지난 2004년부터 5년간 금오공대 창업보육센터 소장을 지낸 것을 비롯해 한국창업보육협회장을 거쳐 창업진흥원 초대 이사장으로 선임된 창업 전문가다.

창업진흥원은 2008년 한국창업보육협회에서 간판을 바꿔 달았다. 개편 이후 △창업 역량 강화 △기술창업 활성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창업 성공률 제고 △신기술창업 집적지역 지원 사업 등으로 확대됐다. 창업 교육부터 우수 창업자 성장 기반 마련까지 단계별 지원이 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MB 정부 들어 일자리 창출이 화두가 되면서 예산도 2008년 50억 원에서 올해 기준 1000억 원 규모로 2년 동안 20배나 늘었다.

그는 “창업은 타이밍”이라고 요약했다.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방법을 몰라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때문에 대학이 이들 예비 창업자 교육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창업 아이템을 실현하는 방법을 알아 기회를 포착하면 창업 성공률은 자연스레 높아질 거란 얘기다.

이런 점에서 대학은 창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파트너로 부각됐다. 실제로 창업진흥원이 지원하는 전국 286개 창업보육센터 중 228개가 대학 산학협력단 소속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우수 예비 창업자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대에 발맞춰 태블릿 PC용 앱 개발자 육성을 위한 앱창작터, 창업 강좌, 관련 창업 동아리 활성화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선 게 대표적 사례다.

이처럼 창업진흥원과 대학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김 이사장은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금이 바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라고 힘줘 말했다.

“최근 몇 년간 대학의 창업 활성화 노력은 눈에 띄게 늘어났다. 창업 관련 강좌 개설이나 동아리 지원사업, 관련 학과 개설 등은 예비 창업자 양성에 필수적인 인프라다. 이러한 토대 위에 ‘결실’을 맺으려면 우수 창업 역량을 갖춘 대학에 좀 더 많은 지원이 돌아가야 한다. 창업진흥원이 직접 ‘창업 선도대학’을 지정, 선정 대학은 확실하게 지원해줄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이어 “창업에 투자하는 것은 잠재 성장력을 키우는 것”이라며 “창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그 같은 인식이 확산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당장 눈으로 성과가 확인되지 않더라도 창업 지원사업은 장기적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투자돼야 한다고도 했다.

“누구나 창의적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업할 수 있는 환경,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는 열린 환경이 필요하다. 아이디어와 지식이 융합된 협업 환경, 아이디어와 자본이 적극적으로 결합되는 환경, 바로 ‘벤처 생태계’ 환경 조성이 시급한 때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