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800조원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1년 1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3월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62조3000억원 증가한 801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 증가세는 계절적 요인으로 전분기에 비해 6조원이 늘어나 다소 둔화됐다. 
가계신용은 국내 금융회사의 가계대출과 신용카드 등에 의한 외상구매를 뜻하는 판매신용을 합한 것으로 통상 가계부채로 인식된다.

 

가계부채를 상징하는 가계신용이 800조원을 넘어선 것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가 단초를 제공했고 지속적인 물가 상승, 장기 저금리 기조도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비록 지난 분기에 비해 증가세가 주춤했지만 800조원이 넘은 가계신용의 적정성 여부는 심각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3월말 기준으로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3000억원을 기록, 전분기보다 6조3000억원 늘었고 판매신용잔액은 49조1000억원으로 3000억원이 줄었다.

 

금융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3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8조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크게 감소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은 2조7000억원 늘어나 전분기 증가액 8조7000억원보다 현저히 낮아지며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다.

 

보험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경우 오히려 1000억원 감소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중에서는 정부의 DTI 규제 완화로 전분기 증가세를 주도했던 주택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이 다소 주춤했다. 주택대출 증가액은 4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6조3000억원보다 적었으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도 5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7조7000억원보다 2조3000억원 가량 낮았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도 이날 가계부채 증가가 한국 은행산업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이날 “한국 은행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익성, 자산의 질 등의 측면에서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가계부채 비율 증가가 향후 위험 요인”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2004년 신용카드 사태 이래 지속적으로 나빠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