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이 중재 적극나서

지난 17일 경희의료원 파업사태가 일단락되면서 가톨릭중앙의료원을 비롯 지방병원 등 보건의료노조 파업사태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타결 배경> 1백19일 동안 장기간 지속됐던 경희의료원 파업 사태가 타결된 데는 유명철 의료원장 퇴진 등 재단의 중재가 크게 작용했다. 유명철 원장은 타결 직전까지 합의 서명에 반대했으나 재단에서 오히려 협상에 적극 나섰다는 후문이다. 또 지난 11일 경찰병력이 투입되면서 조합원 복귀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갔으며 내달 4일 국정감사에 경희의료원 노사가 증인으로 채택되는 등 재단측이 상당한 부담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파업손해액도 수백억원을 넘어섰고 환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장기간의 파업도 노사양측의 많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번 타결에서 병원측은 파업기간 중 임금을 45% 지급,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서 한발짝 물러서는 자세를 보였다. 7, 8월에 복귀한 노조원에 대해서는 각각 60, 50%의 임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45%에서 무난히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파업 참여자-비참여자 갈등골 깊어> 한편 파업에 참여했던 노조원과 참여하지 않았던 노조원간의 갈등의 골이 깊어져 병원 정상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경희의료원 임상교수협의회는 19일 노사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벌인 결과 파업에 참가하지 않았던 직원 1천8백50명 중 1천1백24명이 투표, 7백90명(70.3%)이 반대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조측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파업 철회 여부에 대한 공식 투표는 노조측에서 계획하고 있으므로 교수가 중심이 돼서 시행하는 투표는 법적 효력이 없으며 받아들일 수도 없다’고 밝히고 있어 또 다른 분쟁거리가 되고 있다. <파업중인 가톨릭중앙의료원에 타결 압박될 듯> 경희의료원의 극적 타결로 의정부, 여의도, 강남성모병원 등 파업이 계속되고 있는 가톨릭중앙의료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경희의료원 이주연 선정부장은 “이번 타결이 타 파업장에도 타결 압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톨릭중앙의료원은 지난 18일 ‘9월 25일까지 복귀명령에 불복할 경우 적법 절차를 밟겠다’고 밝히고 있어 이번주가 파업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조합원 복귀율이 낮은 상황에서 천주교 교단이 어떻게 나오느냐, 또 국정감사 증인채택 여부 등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