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발·이전, 취업·창업 지원까지 역량강화 방안 발표

산단 내 인력 전문성 강화, 정규직 비중 올리기도 유도

앞으로는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능이 산학협력을 기획하고, 기술이전·취업·창업까지 지원하는 역할로 강화된다. 교과부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산학협력단 역량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존에는 국책 연구비를 관리하는 부서 정도에 머물렀던 산학협력단이 학내 산학연 협력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학내 기술개발(R&BD)에서부터 인력양성, 기술사업화, 취업·창업지원까지 책임지도록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다.

교과부 산학협력과 오정민 사무관은 “기존의 산학협력단은 연구비만 관리하던 행정 조직이었다”며 “앞으로는 기업체와의 공동연구나 기술이전, 취업·창업까지 지원하는 부서로 위상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산학협력단의 위상 제고를 위해 처·실 수준 이상의 기구로 격상시켜 대학 내 주요 부서와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조정한다. 대학별로 연구처와 산학협력단을 ‘산학연구처’로 통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특히 산학협력단 직원 중 변리사나 산업체 경력인사(산학협력중점교수) 등 전문가 비중을 늘려 전문성도 강화할 예정이다. 현재 대학 산학협력단의 정규직 비중은 38.1%에 불과하다.

때문에 교과부는 “행정직이나 계약직 중심으로 산학협력단이 꾸려져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가 어려웠다”며 “산학협력단 내 전문가 비중을 늘리는 한편 정규직 비중도 늘려 조직의 전문성·안전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대학 내 취업지원부서(인력개발원 등)와 산학협력단을 연계, 산학협력단이 보유한 산업체 네트워크(산학협력가족회사 등)를 취업지원에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교과부는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 개정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대학 연구 간접비를 기술사업화를 위한 종잣돈(Seed-money)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개발에 조세특례를 적용해 기업·대학 간 공동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오 사무관은 “내년 1월 공고할 예정인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에 이 같은 개선방안의 실행 여부를 지표로 포함하고, 대학별 연구 간접비 배분 시에도 대학 내 산학협력단 위상과 기능을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