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지난달부터 7회 계획으로 연재하고 있는 ‘대학이 사라진다-미래위기 진단과 대응방안’기획시리즈가 회를 거듭할수록 대학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지난달 21일 본지가 개최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초청 대학총장간담회에서 설훈위원장을 비롯, 김준영대교협회장, 기타 참석 총장들이 이구동성으로 MOOC(개방형 대중온라인강의)로 인한 대학의 모습 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본지는 전국의 주요 거점대학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미래 대학의 모습에 얼마나 대응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별도의 특별취재팀외에 경영진이 직접 대학 순회 방문에 나서 총장들과 면대면 대화를 나누었다.

후기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오픈코스웨어가 국경을 넘어 전 세계 고등교육 학습자수요를 빠르게 흡수하고, 디지털원주민인 미래 세대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로 고등교육기관은 또 다른 무한경쟁에 놓이게 되어 그 결과 국공립사립, 수도권과 비수도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사이버대학 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는 본지 주장에 대한 대학총장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정원감축, 정부재정지원사업과 연계된 대학 구조조정 등으로 당장의 생존이 급급한 데 무슨 미래 얘기냐는 반응과 정말 앞으로 닥쳐 올 쓰나미에 대비하기 위해 미래전략을 짜야 한다는 반응, 두 가지였다.

이 두 반응 모두 일리가 있다. 학령인구 감소는 기정사실이고 그동안 반값등록금 정책으로 등록금 인하나 동결, 정부의 각종 규제와 대학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대학들로서는 미래전략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들의 입장에서 보면 오늘 당장 죽을 지경이다. ‘미래는 무슨 얼어 죽을 미래’라고 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장래에 닥쳐올 미래의 환경변화에 대해 발 빠르게 대처해 양질의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뿐 만아니라 전 세계 교육 수요자를 유치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어떤 대학총장은 곧 ‘위기가 기회’라는 생각으로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대학총장들의 반응에 대해 어느 것이 꼭 집어 정답이라고 말 할 수는 없다.

다만 어떤 상황을 예감하고 대비하는 것하고 무방비 상태로 당하는 것 하고는 천양지차라는 점은 강조하고 싶다. 지난 총장간담회에서 설훈교문위원장은 “구조조정보다 앞으로 다가올 대학의 위기에 대해 대부분의 대학들이 무감각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얼마전 조선일보가 개최한‘스마트클라우드쇼 2014‘에 소개된 선진국 교육혁신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미 미국은 하버드와  스탠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MOOC가 일반화 되어있고 국내 일부 대학들도 MOOC를 도입,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제 다가올 미래의 환경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교육이 국가의 백년대계라면 지금부터라도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선제적 행동이 요구 될 때다. 우선, 위기를 인식하고 공유할 대학 정책 당국자들의 인식변화와 참여, 그리고 지속가능한 고등교육미래를 연구하고 정책화 할 수 있는 제도와 조직 마련이 그것이다.

마침 정무적 감각과 넓은 시야를 가진 새로운 장관이 부임해 여러 교육 현안들은 챙기고 있다. 당장 눈앞의 현안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사실은 먼 미래도 아닌 불과 20년 전후에 불어 닥칠 교육 환경의 변화에 지금부터 태스크포스를 꾸려서라도 대비해야 한다. 미래에 대비한 고등교육 정책이 정부차원에서 입안되어 시행되면 대학들은 따라오게 되어있다.

일제 식민통치와 6.25동란을 딛고 국가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해온 대학. 그러나 요즘 대학들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한낮 고등교육 과정의 한 수단으로 밖에 비춰지지 않고 심지어는 일부 대학의 일탈로 인해 부정과 비리집단으로까지 매도되기도 한다. ‘대학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이라는 슬로건으로 고등교육 전문지로 자리매김해 온 본지가 특별시리즈를 기획한 이유다. 대학이 사라질 수도 없지만 사라져서는 안 된다. 위기를 기회로 대학이 거듭나야 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교훈을 되새길 때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