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수도권으로 영역 확대 "두 마리 토끼 노린다"

[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서울에 본교를 두고 인천·경기에 캠퍼스 확장·이전을 추진 중인 대학은 현재 3곳이다. 서울대는 시흥시, 서강대는 남양주, 동국대는 고양시에 캠퍼스 설립을 준비하거나 일부 완공했다. 

캠퍼스 설립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동국대다. 동국대는 2005년 동국대 병원을 고양시 식사동에 개원한 이후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바이오메디캠퍼스’ 조성을 준비해 그동안 산학협력관, 종합강의동, 약학관 등을 준공했다. 지난해 상영 바이오관을 준공함으로써 올해부터는 바이오시스템 대학 바이오환경과학과, 생명과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의생명공학과 등 4개 학과의 수업을 고양캠퍼스에서 진행한다. 일산 캠퍼스는 의·약학, 생명과학, 헬스케어분야가 집적된 융합캠퍼스를 표방하고 있다. 
 
서강대의 ‘남양주 캠퍼스’는 이중 가장 더딘 케이스다. 아직 이렇다할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서강대와 남양주시는 지난 2010년 ‘21세기형 GERB(Global Education, Research & Business) 캠퍼스 조성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한 이후 5년이 다되도록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2017년 개교를 목표로 했지만, 지난 12월 그린벨트 해제가 조건부 승인이 남에 따라 개교 시점을 2020년으로 수정한 상태다. 
 
 
서강대는 남양주 캠퍼스를 국내외 대학과 연구소, 기업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형태의 캠퍼스로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해외 명문 대학과 협력할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메디컬 연구센터, 대학원, 기업, 연구소 등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산학협력 시너지 효과를 낼 테크노파크가 모델이다. 문제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이다. 캠퍼스가 들어설 지역의 주민들은 소통없이 추진하는 개발사업에 반대했다. 이들은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서강대 캠퍼스를 유치하는 양정 역세권 복합단지 개발 사업이 주민을 일방적으로 몰아내고, 토지주들에게 헐값에 땅을 매입해 서강대에 특혜를 제공한다며 개발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2009년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지지부진했던 서울대 시흥캠퍼스는 최근 ‘서울대-경기도 공동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해 숨통을 틔였다. 교육국제화특구로 조성해 대학 캠퍼스와 연구단지, 의료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서울대 국제캠퍼스와 외국인 학생·교수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기숙사, 외국어 전용타운 등이 들어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서울대와 시흥캠퍼스의 이번 협약이 지역여론을 달래고 추진의지를 분명히 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로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경기도가 지원을 ‘약속’ 했지만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는 아직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 역시 캠퍼스 조성에 따른 운영비 부담과 교육관련 컨텐츠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서울대와 시흥시가 공동작성한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양측은 ‘관악캠퍼스의 기능적 분할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 시흥캠퍼스의 역할은 알려진 것보다 제한적일 전망이다. 
 
서울에 있는 대학들의 경인지역 캠퍼스 조성은 그러나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실제로 몇몇 대학들은 신규 캠퍼스 조성에 나섰다가 우여곡절 끝에 철회의사를 밝히면서 '없던 일'이 됐다. 이화여대가 경기 파주캠퍼스 조성을 포기했고, 숭실대가 광명캠퍼스를 추진했으나 결국 철회했다. 성균관대도 평택캠퍼스 설립을 계획했으나 현재 추진되진 않고 있다.
 
특히 성균관대의 ‘평택 브레인시티’ 사업은 제3캠퍼스를 포함한 △교육 △연구 △주거 △첨단산업 복합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위기를 맞았다. 경기도는 지난해 산업단지 지정을 해제한다고 밝혀 사업이 무산되기에 이르렀다.
 
서강대는 남양주 캠퍼스 보다 먼저 지난 2007년 파주에 글로벌캠퍼스를 설립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2010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캠퍼스 조성 계획을 세웠지만 이내 무산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