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국립대 총장 공석상태가 장기화되면서 국립대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지역 거점 국립대 총장의 절반 가량이 공석인 것을 비롯해 전국의 9개 국립대 총장자리가 비어있거나 후임을 선출하지 못하고 있다.

공주대는 무려 22개월째 총장이 공석이고 경북대도 1년반가량 총장자리가 비어 있다. 지역 거점 국립대 10곳중에서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등 4곳이 직무대행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충남대는 총장임용후보자 2명을 교육부에 올렸으나 현 정상철총장의 임기만료일인 21일까지 결정될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거점대 이외에도 공주대,  한국방송통신대, 한국해양대, 부경대 등은 총장을 뽑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장도 없이 배가 망망대해를 운항하고 있는 꼴이다. 이들 대학들은 총장직무대행 체제로 간신히 학교 행정을 꾸려가고 있다. 총장 공석상태가 길어지다 보니 학교 장기비전은 고사하고 중요 의사결정도 제때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총장이 없는 대학들의 위상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영남권 명문 경북대는 3번째 총장직무대행 체제를 맞으면서 전임교원 확보율은 거점대학 9곳 중 8위,취업률은 3년 연속 떨어지고 있다.

본지 게시판에는 총장 공석에 대한 많은 글이 올라와 있다. “경제활성화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국회를 비난하면서 정작 총장 임명을 미루는 것은 직무유기다” “총선에 나가기 위해 사장이 물러난 인천공항공사처럼 대란이 일어나봐야 정신차릴 것이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대부분이다.

국립대 총장은 교수, 교직원, 학생 등 대학 구성원의 대표이자 지역 발전에 핵심역할을 하는 국가기관의 장이다. 장관급 대우를 받고 있다. 그만큼 책임이 막중하다는 뜻이다. 기업으로 치면 최고경영자(CEO)에 해당한다. CEO가 없는 회사를 상상할수 있겠는가.

우리는 더 이상 총장 공백사태가 장기화되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1차적 책임은 교육부에, 2차적인 책임은 임명권자인 청와대에 있다고 본다.  교육부가 코드에 맞는 인사를 고집해서 국립대 길들이기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소신있게 임명권자인 청와대에 추천을 못하는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시중에는  임명권자인 청와대에서 교육부가 추천한 총장후보자 임용을 일방적으로 거부하고 재추천을 요구해 대학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설도 떠돌고 있다.

이는 정부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직선제 총장 선출 대학에 불이익을 주는 정책과는 별개 문제다. 일단 임명을 하고 평가를 해서 불이익을 주던지 해야지 총장 임명자체를 차일피일 미루는 행위는 비겁하다고 본다.

국립대 총장은 장차관이나 국영기업체 사장자리가 아니다.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만 골라 임명하겠다는 발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과거 정권에서는 이처럼 많은 국립대 총장이 공석인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 대학은 현재 위기에 몰려 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국립대가 진정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시급한 일인지 교육부는 곱씹어 보기 바란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