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가 최근 과거와는 다른 학생군을 고등교육에 참여시키는 정책을 펴면서 대학들이 교육의 질 제고와 교육 기회 확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는 집권 노동당 정권이 연 장자나 시간제 학생 그리고 장애인 등 새로운 학생 계층에게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예견된 일로 비판론 속에서도 영국 대학이 다양성과 교육 기회 확대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집권 노동당이 추진하는 고등교육 정책 방향은 평생 교육과 교육 기회 확대에 초점이 맞춰 져 있다. 이 정책대로라면 대학들은 과거와 달리 연장자와 저소득층, 소수계층 등에 문호를 더 많이 개방해야 하고 학생들의 중도 포기와 재입학 선택이 자유롭도록 해야한다. 실제로 지난 92년 후 대학 지위를 얻은 많은 새로운 대학들이 이러한 정책을 앞장서 추진하고 있지 만 결과는 아직 썩 신통치 않은 상황이다. 수업료 징수라는 경제적인 부담 요인과 신규 대 학에 대한 하향 평가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탓이다.

수업료 징수가 시행되면서 성인의 대학 진학률은 지난해와 올해 연달아 11%씩 감소했다. 수업료 부담이 고등 교육 접근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 대학 지위를 얻은 신규 대학이 과거의 대학들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데도 원인이 있다. 과거의 획일화된 잣대로 대학을 평가하는 탓에 신규 대학은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이 때문에 학생들을 끌어들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고등교육처럼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시간제 학생을 늘리고 평생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미국처럼 학점이 상호 인정되고 전학 이 자유로워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현재 고등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중 3분2에 해당하는 21세 이상 학생과 3분1에 해당하는 시간제 학생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는 학점이 상호 인정돼 전학이 자유롭고 중도포기와 재입학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크로니클>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