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을 벌여온 교육부의 '두뇌 한국 21 사업'이 인문사회분야 사업 내용 재검토와 교수 계약 제 등 일부 조항을 수정하는 선에서 예정대로 오는 20일 대학별 공모를 마감한다.

그러나 이 사업은 공모 초기부터 교수 사회의 집단 반대 여론에 부딪친데다 사업이 시행되 더라도 학부 정원 조정이나 사업단 구성, 산업체 대응자금 개발 등 정부와 대학이 풀어나갈 난제가 산적해 향후 진통이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기사 본지 318호>

이와관련 교육부는 응모 일정을 고려, 지난 15일 각 시도 교육청과 관련 단체에 서류 접수에 따른 인력 지원을 요청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했으며, 대학가에서도 막바지 검토 작업에 밤을 세웠다.

특히 인문사회분야 사업 계획이 추가, 보완을 이유로 연기된 탓에 대학가에서는 과학기술분야와 지역우수대, 특화 핵심분야에 집중해 사업단을 구성하는 등 임박한 서류 접수에 분주했다.

서울대는 전 분야에 걸쳐 대학원 중심대학으로 간다는 전제 아래 전체 교수 1천5백여명 중 5백여명 정도를 참여시킨다는 계획 아래 정원 감축과 교수 충원 등 세부사항 점검에 힘을쏟았다.

고려대도 7개 자연과학분야에 제안서를 낸다는 방침 아래 단독 또는 분야별 컨소시엄 형성을 위한 사업단을 구성한 상태이며, 과학기술 전 분야에 컨소시엄을 구성키로 한 포항공대 는 재료분야는 연세대와, 정보기술은 경북대와, 생명과학은 이화여대와 공동으로 사업단을 구성한다는 방침 아래 막바지 실무 협의에 들어갔다.

이밖에 충남대, 전남대, 전북대 등 충청과 호남 지역 국립대학은 각기 정보통신, 수송기계, 전자정보산업 등 특성화 분야를 확정하고 컨소시업 구성을 위한 대학, 지방자치단체간 최종 협의에 들어갔으며 부산대와 경북대 등도 비판여론이 강한 점을 의식, 공개적인 준비상황은 발표하지 않고 있으나 지역우수대학 분야에 참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사업이 단순한 지원을 벗어나 학부정원 조정이나 감축 등 대학에 따라서는 이해득실에 따라 감당키 어려운 학제개편을 수반하고 있고, 사업단 구성에 따른 교수들의 불만이 내제해 있는 상태여서 교육부 정책 방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특히 사업기간 중 과학기술분야는 25% 이상, 특화분야는 30% 이상의 대응자금을 산업체를 통해 마련토록 하는 등 포괄적 의미에서의 산학 협동이 강제되고 있어 사업단을 구성한 참 여 교수들의 부담도 사업 기간 내내 남게됐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 7일 교수들의 반대여론과 일부 문제 소지를 인정, 인문사회분야 사업검토를 위한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추가 보완키로 했으며 교수연 구업적평가와 계약제 등 일부 조항은 시행계획의 전제 조건 조항에서 삭제했다. <대학정책 팀>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