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조금 끊겨 연구 환경 구성 ‘난항’

입학정원 감소는 연구인력 부족으로 이어져

[한국대학신문 최상혁 기자] 지난 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 등급을 받은 대학의 교수들이 연구를 진행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재정지원사업 제한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신입생 유치가 어려워 연구 인력의 부족도 호소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재정 부족에 따른 열악한 연구 환경이다. D·E등급에 포함된 대학은 일부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제한되기 때문에 사업 선정 시 받을 수 있는 연구보조금 지원 혜택에서 벗어난 상황이다. 교수 개인이 국가 연구를 수주하는 것에는 지장이 없지만, 연구보조금을 받지 못한 교수들은 기본적인 연구 장비 구입조차 도움을 받을 수 없다.

E등급 대학의 A 교수(임상병리)는 “기본적으로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선정돼 정부지원금이 나오면 그 안에 연구보조금이 함께 포함돼 그 금액으로 기본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E등급에 선정되고 난 후에는 연구 진행이 어려워졌다. 교수 개인의 역량마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신입생 유치 난항에 따른 연구인력 부족도 문제다. 신입생의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이 제한되는 D·E등급의 대학들은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입학정원 감소는 자연스럽게 연구인력 부족으로 이어졌다.

B 교수(생명공학)는 “지난 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 등급을 받은 뒤로 학과 내 정원이 반토막이 됐다. 작년까지는 연구인력 부족을 느끼지 못했지만 올해부터는 심각하게 체감하고 있다. 지금 있는 학생들도 편입이나 반수로 학교를 떠나려는 움직임이 늘어 인력 부족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입생 입학정원이 지난해 120명에서 올해 50여 명까지 줄어든 C대학 IT공학과 역시 상황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해당 학과 교수는 “학과 특성상 다양한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원의 협동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학생들 사이에서도 동요가 심하다. 이러다 학과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교수들은 이런 어려움에 대해 ‘기본 연구비 지급’을 해결책으로 꼽았다. 구조개혁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대학의 기본 연구비를 지급해 교수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는 의미다. 한 교수는 “일본에서는 작은 규모라도 기본 연구비를 지급해 교수의 연구 환경을 조성해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학교의 문제는 학교가 노력해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들은 연구와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C대학 교수 역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대학은 신입생 유치가 더욱 힘들 것”이라며 “빠르면 1~2년 사이에 하위등급 대학의 교수들은 연구가 불가능한 상황이 올 수 있다. 고등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라도 기본 연구비를 지급해 방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