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한빛 기자]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어느덧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대선주자들은 발 빠르게 인재를 영입하고 주요 공약을 발표하며 자신이 대통령의 적임자임을 자처하고 있다. 대학교수들도 후보들의 싱크탱크 또는 자문그룹에 합류해 정책을 개발·연구하며 지원에 나섰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교수 참여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정계와 공직에 진출한 교수 출신들이 자신의 직책을 이용해 사적 이익을 추구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박근혜 정부에서 이러한 행태가 더욱 심화됐다. 교수 출신으로 공직을 맡은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과 김종 전 문체부 차관 등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적극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정권의 부역자라는 비판을 받아야 했다.

교수들의 참여를 무조건 잘못했다고 지적할 순 없다. 전문가로서 지식인으로서 사회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캠프에 합류한 교수들은 한목소리로 지난 정부에서 나타난 비정상과 사회 불균형 현상에 염증을 느껴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스스로 정치참여를 통해 사회변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열망이 커졌다는 뜻이다.

특히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위기 상황 속에서 교수들의 지식과 경험은 우리 사회에 쌓여있던 부패와 적폐를 청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사회 변혁이라는 순수한 의도를 넘어 변질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너무 멀리 떨어져 사회문제를 방관해서도, 너무 가까이 다가가 권력에 욕심내서도 안 된다. 전문가이자 지식인으로서의 역할과 학생을 지도하고 연구 활동에 매진하는 교수로서의 본분을 유지해야 한다.

제19대 대선은 누가 대통령이 될지보다 차기 대통령이 얼마나 적폐청산을 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높다. 이러한 요구에 맞춰 교수들도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기여해주기를 바란다.

더불어 불가근불가원의 원칙을 깊이 새겨 과거 교수 출신 공직자들의 부역자로서, 폴리페서로서의 모습을 답습하지 않고 교수로서의 역할을 다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