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경쟁 가능성·추진 도중 이해관계 갈등 우려 높아

▲ 전호환 부산대 총장(왼쪽)과 정무영 UNIST 총장이 15일 학점 및 학술교류를 위한 MIOU를 체결했다.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교육부가 대학자율역량강화(ACE+)사업과 국립대학혁신지원(PoINT)사업,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까지 대학 간 컨소시엄 형태의 강력한 교류협력을 주문하고 나서면서 실제 대학들이 교류-연합대학 추진 MOU를 속속 체결하고 나섰다.

한 주 동안 대학들의 ‘짝짓기’는 연일 이어졌다. 14일에는 부산가톨릭대와 부산외대, 영산대가 △융합전공 개설·운영 △어학 중심 교육 플랫폼 공동구축 △해외 인턴십과 현장실습 등 글로벌 프로젝트를 골자로 연합대학 체제를 구축했다. 15일에는 부산대-UNIST 학술학점교류 MOU를, 16일에는 경동대, 동양대, 예원예술대, 중부대 등 경기북부 4개 대학 캠퍼스가 연합대학 체제 MOU를 체결했다. 지난해 학점교류 MOU를 맺었던 서울총장포럼은 14일 플랫폼 구축 후 2학기에 가동할 것이라며 한 단계 구체화된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대학 간 경쟁을 넘어 자생적 협력을 지향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재정 지원을 전제로 한 교육부의 평가 경향과 맞닿아 있다.

교육부는 지난달 ACE+사업 기본계획을 통해 학부교육 선도모델 내재화 및 타 대학과의 공유‧연계‧확산에도 강조점을 두고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안에서도 1단계 평가 시 ‘대학 특화전략’ 지표를 통해 학사구조조정을 유도하는 동시에 특성화 분야가 아닌 학문단위의 교원과 시설 등 인프라는 인근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해소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교육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PoINT 사업 대학 간 혁신 유형은 국립대학들이 스스로 특성과 여건에 맞는 협업모델을 개발해 대학 간 기능 효율화, 자원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하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올해 지원규모는 10억원으로 많지 않지만 교육부는 ‘올해는 모델과 사업목표를 세우는 데 사업계획을 토대로 타당성과 실현가능성, 협업 준비도를 검토해 향후 협업 추진을 위한 사업기간, 중장기 투자규모를 협의·결정할 예정’이라고 공고에 명시해 가능성을 열어뒀다. 지난해 논의한 국립대학 발전방안과 같이 4년간 1000억원 수준으로 증액될 가능성은 남아있다는 얘기다. 

전국 대학 가운데 처음으로 강원대와 강릉원주대가 학내 시설과 학사과정 등 대부분 분야를 공유하는 '연합대학' 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부산대-UNIST, 충남대-한밭대, 전북대-군산대-전주교대, 경북대-대구교대 등 전국의 국립대학들이 권역별 연합대학 체제를 갖춰 학사·학술 교류에 나설 태세를 갖추고 있다.

지난 16일 청주 그랜드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된 전국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에서도 연합대학은 이슈였다. 최일 목포대 총장은 ‘미래사회 대비, 미래 국립대학의 변화’ 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연합대학 논의에 부정적이었던 지역중심국립대 간 협력을 강조하면서, 향후 국립대 연합대학 체제가 광역권을 넘는 수준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처럼 대학들이 너도나도 비슷한 여건의 대학끼리 손을 맞잡으면서 우려도 나온다. 앞서 전국국공립노동조합에서는 PoINT 사업의 대학 간 혁신 유형은 거점국립대 중심의 국립대 통폐합을 유도하는 정책이라며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대학본부 차원에서도 과열 경쟁 우려와 함께 연합대학을 이룬 각 단위대학 구성원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연합대학 모델이 나타날지에 대한 의구심을 내비쳤다. 

한 국립대 보직교수는 “교육부가 7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PoINT사업 대학 간 협력 유형에 대한 신청을 받기 때문에 상반기 중 대학 간 연합대학 또는 교류협력 짝짓기가 붐처럼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대학들이 자생적으로 협력방안을 모색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은 공감한다. 다만 추진 과정에서 어려움에 부딪쳐 알맹이 없는 연합대학도 생겨날 것이고, 비슷한 유형의 교류협력과 연합대학이 속출하게 되면 확실히 재정을 따내기 위해 더 강력하고 적극적인 연합체가 나타날 가능성도 높다”고 예측했다.

다른 지역 사립대 보직교수 역시 “사립대는 특히 인적 자원을 교류하기엔 처우가 상이해 한계가 분명하고, 막상 추진 도중 부딪치는 대학 간 이해관계와 재정상황도 다른 암초가 될 수 있다”면서 “보다 대학 본연의 임무인 교육과 연구, 지역사회 봉사에 충실할 수 있는 협력을 구상하고 큰 양보를 해야만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