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대학가 화두는 단연 ‘공유대학’이다. 교육부 정책이 크게 작용했다지만, 지난해까지 대학 간 경쟁이 극에 달했다면 올해는 연합을 통한 협력으로 판도가 바뀐다는 점은 눈여겨 볼 만하다.

지난해부터 서울지역 23개 대학에서 추진하는 학점교류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미국 워싱턴 D.C의 대학 컨소시엄(Consortium of Universities)을 모델로 내세웠다. 워싱턴 대학 컨소시엄은 협력 필요성이 제기된 시점이 1930년대로, 컨소시엄이 탄생한 시기는 1966년 5월이다. 대학원 교육과정부터 연합하기 시작한 1963년부터 학점교류 및 도서관 공유 협정이 이뤄지는 동안 3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논의가 단계별로 차근차근 이뤄졌다는 얘기다.
국내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학점교환제는 부분적으로 운영돼왔다. 지난 40여 년간 신촌지역의 연세대·이화여대·서강대 학부와 대학원 학점교환제가 그 효시다. 다른 사례도 있다.

서울총장포럼은 지난해부터 차근차근 학점교류를 위해 연구하고 준비해왔다. 하지만 학점교환제는 실제 대학 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연합대학을 구축하기 위한 더 많은 소통과 토론, 양보와 조정이 필수적이다.

각 대학의 교수와 직원, 학생 모두 연합대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공감하고 그 합의점을 도출해야만 비로소 연합체는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다. 다소 지난할지 모르나 공유와 협력시기에 걸맞은 의사결정을 통해 ‘연합대학’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