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5월 9일로 일정이 확정됐지만 이른바 대선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은 아직은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특히 자리에서마다 4차 산업혁명은 힘주어 강조하지만 구호만 있을 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정부를 비롯해 학연산(學硏産)이 어떤 준비를 하고 대학 교육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청사진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각 당 유력 후보들은 교수 영입에 열을 올려서 폴리페서 논란까지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정작 내놓는 공약은 알맹이가 없다.

대학들은 이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융합학과를 개설하고 창의적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본지가 3월 말 개막하는 프레지던트 써밋의 주제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대학교육제도의 혁신이다.

일부 전문대학에서는 지난해 드론 규제가 완화되기 전 이미 드론학과를 개설해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기도 했다. 벌써 대학들은 본격적으로 드론, 증강현상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학문구조 개편을 논의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선주자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510만개 직업이 사라지고 사회가 변할 것이란 예측만 되풀이하고 정책적 제안이나 법적 규제 완화, 제도 개선은 외면하고 있다.

각 교육단체는 이미 수차례 고등직업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정책을 제안해왔다. 전문대학의 경우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것을 포함한 학제개편안까지 제안됐다. 학령인구 감소와 맞물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 개편과 정책 방향 설정은 더 는 미출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새로 출범할 정부는 막중한 시대적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무엇보다 미래적 좌표 설정이 중요하다. 그 첫 단추는 교육에 있고 그 전위는 대학이 돼야 한다. 대선 후보들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육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