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별명이 생겼다. 유은혜 장군이다. 한유총의 전쟁에서 완승을 거뒀기 때문이다. 한유총은 개학 연기 카드까지 꺼내들었다. 하지만 유 부총리는 흔들리지 않았다.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만을 생각하며 전쟁을 진두진휘했다. 국민들도 유 부총리를 응원했다. 결과는 승전보. 

유 부총리는 한유총 사태에서 뚝심과 소신을 입증했다. 만일 유 부총리의 뚝심과 소신이 대학정책으로 이어진다면 어떨까? 사실 유 부총리 취임 초만 해도 대학정책은 기대보다 우려가 앞섰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우려는 기대로 바뀌고 있다.

시계추를 돌려보자. 유 부총리는 1월 23일 대교협 정기총회에서 “대학 현장과의 소통 기회를 적극 만들어 고등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약속하면서, 교육부-대교협 공동 TF 구성을 제안했다. 제안은 곧바로 실현됐다. 교육부-대교협 공동 TF는 2월 15일 1차 회의, 2월 27일 2차 회의를 개최했다. 앞으로 매월 최소 1회 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어 유 부총리는 7일 전국 국·공립대총장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 “대학이 혁신과 포용 가치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미래사회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고등교육 재정이 충분히 확보돼야 하고, 대학 현장에서 교육과 연구의 질을 개선하는 데 불편함을 주는 규제를 우선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이란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며 재정 확보와 규제 개선 의지를 시사했다. 

대학가 입장에서 속이 후련할 터. 물론 섣부른 판단일지 모른다. 또한 부총리마다 반복되는 '립 서비스'일 수 있다. 하지만 대교협 정기총회 이후 유 부총리의 대학 행보는 지금까지 합격점이다. 유 부총리는 약속을 지켜가고 있다. 따라서 일관성이 중요하다. 유 부총리가 일관되게 약속을 지킨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다. 

사실 유 부총리에게 전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부총리 임기는 제한되고, 교육현안은 실타래처럼 얽혀있다. 이에 교육부 공무원들의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 유 부총리가 전면에 나서니 마지못해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실천해야 한다. 특히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의 역할이 중요하다. 유 부총리와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이 대학정책의 전환점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