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사립대학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9’가 개막됐다. 총 25명이 참가한 금번 서밋은 대학의 위기가 현실화되는 시점에 개최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원래 서밋은 대학의 생존경쟁에 몰입했던 총장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를 대비한 공동 전략을 모색하는 장(場)이 필요하다는 요청에 본지가 응함으로써 시작됐다.

서밋의 어젠다는 재정난과 같은 현안문제와 지속가능성 탐색과 같은 미래문제 그리고 눈앞에 다가온 4차산업혁명 신기술에 대응하는 대학교육 변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중 대학 재정절벽, 규제완화, 대학자율성, 교육영토확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등은 이제 단골메뉴가 됐다.

그동안 서밋은 대학총장들의 집단지성을 통해 현안과 미래문제를 둘러싼 어젠다에 대한 담론을 활성화 하는 데 나름대로 기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서밋 총장단은 콘퍼런스 종료와 함께 대정부, 국회건의문을 작성하여 교육부와 국회에 전달한다. 건의문에는 총장들의 의견이 오롯이 담겨 있다. 그간 제시된 정책제언들은 하나같이 대학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제언들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당국자들에게는 마이동풍(馬耳東風)이다.

총론적으로 건의문을 살펴보면 2015년 건의문에는 “교육영토 확장을 실질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법·제도적 개선을 서두르고 사학진흥을 위해 나서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정치적 배경에서 출발한 반값 등록금 제도를 재고하고 정부의 고등교육재정 규모 확대를 위한 실질적 법·제도 도입과 이를 통한 정책적 지원”을 촉구했다.

2016~2017년 건의문에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대학이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 악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전환 등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서 “4차산업혁명 시대 대학의 대응 전략과 대학교육 혁신 방향을 강구하기 위해 국회 차원의 법·제도적 협조를 요청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래교육과 지속가능한 대학경영’을 주제로 열린 2018 서밋 건의문에는 고등교육 재정 확보와 대학 운영의 자율성 강화, 불필요한 규제 철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대비 평생교육 체제 마련을 위한 교육영토 확장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대학 역량 강화 등의 정책 요구도 포함됐다.

서밋 총장단의 대정부건의문은 이 시대 대학총장들의 정책요구서와 다름없다. 이 시대 대학을 경영하는 총장들의 고뇌의 산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건의문에 담긴 정책제언이 보다 비중 있고 신속하게 다뤄지기 바란다. 부분적으로 건의문에 담긴 제언들이 정책화되고 있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감도는 여전히 미약하다. 이제 정부는 ‘정책’으로 국회는 ‘입법’으로 대학 총장들의 요구에 답할 차례다.

정책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4차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으로 산업구조와 고용구조가 급변하고 있다. 고용 없는 성장이 예상되고 청년실업은 해소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대학은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좌고우면(左顧右眄)과 탁상행정(卓上行政)으로 교육혁신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제라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오직 미래 인재양성에 필요한 혁신에 올인하기를 주문한다. 인재양성의 요람 대학을 질식상태에서 건지고 숨쉬게 공기를 불어넣자.

2019년 사립대학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9’는 ‘대학위기의 시대’라 불리우는 2020년대를 준비하는 마지막 해에 개최된다. 정책당국은 서밋 현장에서 나오는 총장들의 고뇌 어린 외침을 경청하기 바란다. 이들의 충정 어린 고언 속에 답이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