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사회계 원로 12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취임 2주년을 앞두고 사회계 원로들의 평가와 제언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오찬에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교육계 인사로는 송호근 포스텍 석좌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조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김영란 전 서강대 로스쿨 석좌교수 등이 있었다. 이들 원로들은 현재 우리나가가 당면한 여러 이슈들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을까. 남북 관계, 한일 관계, 외교 문제, 노동 문제, 이념 대립, 경제 정책 등 정부 정책과 사회 갈등에 대해 우려섞인 목소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로들은 문 대통령이 나서 사회통합을 이끌어나갈 것을 한 목소리로 주문했다. 일부 경제정책 기조의 변화와 함께 통합과 협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이 하나 있다. 우리나라 교육, 특히 미래사회에 필요한 고등교육 분야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이 없었다. 이는 현 정부가 고등교육 분야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과도 관련이 있다.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의식과 위기의식이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여당과 야당, 진보와 보수 등 이념적 스펙트럼을 떠나 대통령이 된 이후 대학 총장들과 자리를 함께 갖고 교육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다. 이를 통해 대학 현장의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았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지금껏 이런 자리조차 갖지 않았다는 점에서 상당히 대조적이다. 

문 대통령은 올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식 접근을 강조한 바 있다. 문제의 사안은 다르지만 현장 중심의 정책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통용되는 진리다. 비록 늦은 감이 있지만 청와대가 나서 대학 현장의 목소리를 새겨 듣고 국정운영에 적극 반영하길 바란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