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과기원 중 최저…김성수 “4대 과기원 차원의 통합 대응방안 마련해야”

[한국대학신문 이현진 기자] 국내 4대 과학기술원 중 가장 큰 규모인 한국과학기술원(이하 카이스트)의 연구책임자 안전교육 이수율은 19%로, 4대 과기원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4대 과기원 차원의 통합 대응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대 과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4대 과기원의 안전교육 이수율(2019.09기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19% △광주과학기술원(GIST) 25.5%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44% △울산과학기술원(UNIST) 92%였다.
 

KAIST(한국과학기술) 최근 5년간 연구책임자(교수)의 정기안전교육 이수 현황 [자료= 김성수 의원실]
KAIST(한국과학기술) 최근 5년간 연구책임자(교수)의 정기안전교육 이수 현황 [자료= 김성수 의원실]

카이스트 내 항공우주학과에는 폭발물을 취급하는 고위험 실험실이 존재한다. 항공우주학과의 풍등실험실 사고는 엔진 연소 실험 시 상존하는 폭발 위험에 대비한 안전설비가 존재해야 하지만 폭발물 취급 안전설비 또한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카이스트 항공우주학과 A 교수 ‘풍등실험실’ 에서는 실험실 폭발사고로 박사과정 1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친바 있다. 여전히 해당 교수 실험실에서는 실험자 2명이 화학화상을 입고 폭발사고로 인해 샤시파손·천장텍스 등이 파손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대응방안은 마련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타 출연기관에서는 해당 실험이 ‘고 폭발 위험물질’에 분류돼 각종 안전교육·안전장비가 갖춰져야 실험이 가능하다. 하지만 학교는 ‘산업안전보건법’ 대상이 이유로 모든 의무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 카이스트 내에는 폭발물을 취급하는 고위험 실험실, 각종 유해화학물질을 활용하는 연구하는 실험실이 다수 위치해있다. 하지만 카이스트는 관련 사고에 대해 인명피해가 없고 피해액이 100만원이 넘지 않는다는 이유로 주의조치 이외에 다른 보고조치나 대안마련을 진행하고 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카이스트를 포함한 4대 과기원은 ‘연구실 내’ 사고와 ‘연구실 외’ 사고로 구분해 대응체계를 달리 진행하고 있다. 이에 국회에서는 ‘연구실 내’ 사고와 ‘연구실 외’ 사고로 분류되고 있는 체계를 통합해 ‘연구사고’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법’이 공청회를 마친 바 있다. 과거 카이스트에서는 연구실 외부에서 ‘불산추정 물질 유출’로 늦장대응과 비전문적인 조치로 논란이 제기된 바 있기 때문이다.

김성수 의원은 “카이스트는 4대 과기원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책임자의 안전교육이수율은 근 4년동안 1%, 올해 들어 19%로 여전히 가장 낮은 수치로 조사됐다” 며 “폭발물질, 유해화학물질 사고들이 향후 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기전에 4대 과기원차원의 통합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