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출신학교 블라인드 채용의 성과와 과제’ 토론회 개최

l
공공기관 출신학교 블라인드 채용의 성과와 과제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지난 1년간 공공부문의 블라인드 채용 후 명문대 출신 신입사원은 줄고, 지방대 출신 신입사원은 늘었으며, 출신대학의 수도 다양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실・신경민 의원실・이상민 의원실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을바꾸는새힘은 19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공공기관 출신학교 블라인드 채용의 성과와 과제’ 토론회를 개최해 이와 같은 결과를 공유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선 직후 학력・학벌주의 관행 철폐를 위해 국정과제에서 제시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을 그 해 하반기에 도입할 것을 발표하고 의무화했다. 블라인드 채용은 부모의 직업과 재산 등 특권대물림 요소와 구직자의 출신학교 등 편견적 요소를 가리고, 기업이 직무능력 중심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다.

신유형 한양대 교수(경영)는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실태 및 성과 연구’를 발표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2018년 11월  한양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공공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성과를 분석한 결과, 블라인드 채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라인드 채용 전후로 △지역인재 비율 18.5%→ 22% △비수도권 대학 출신 38.5%→ 43.2% △대졸여성 비율 39.8%→ 43.1%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 서울대ㆍ고려대ㆍ연세대 출신은 15.3%에서 10%로 감소했다고 신 교수는 발표했다. 

또한, 신 교수는 “채용비리와 학벌주의가 감소했다”면서 “직무와 무관한 출신학교나 스펙이 아닌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이 활발해졌고, 기업 또한 조기퇴직자 감소, 조직충성심 강화, 직무전문성 강화 등 인재 선발의 경제적 효과가 컸다”고 평가했다. 신입사원도 채용과정과 결과의 공정성 평가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줬다.

다만 “공공기관 유형 및 특성에 따른 블라이드 채용 가이드라인과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소규모 공공기관에 대한 채용 컨설팅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제언했다. 

홍민정 사교육걱정 상임변호사는 “공공기관 외 대기업에서도 학력을 보지 않는 별도전형을 신설하는 등 블라인드 형태의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며 “특히 IT부문에서는 ‘실무 테스트’ 확대, 금융부문에서는 블라인드 면접이 일반화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다만 “블라인드 입사지원서는 11.3%, 블라인드 면접은 35.2%로 여전히 도입비율이 낮고 기업 규모별 격차가 크다”면서 “제도 보완을 통해 중소기업별, 지역별로 확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설훈 의원은 “아직까지 민간기업에는 권장 사항일 뿐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해야 할 의무는 없는 상황”이라며 “학벌이 사회적 성공을 판가름하는 풍토를 바꾸고 철저하게 실력에 따라 평가하는 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기업도 공정한 채용 제도를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경민 의원은 “채용 공정성 강화는 최근 불거진 입시 공정성 논란과 맞물려 국민들의 관심이 가장 높은현안 중 하나이며, 공교육 정상화로 가기 위한 근본적인 해법 중 하나”라며 “나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해도 채용 공정성이 기대에 못 미치거나 채용 준비 부담을 가중한다는 의견들이 있어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