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전공제·교원 연구지원제도 등 변화도 가시화
학생 반발 등 시작부터 논란 거세
교수 퇴장으로 공청회장 분위기 '썰렁'
질의응답 1건, 추가 질의 없어 공청회 종료

김승용 동국대 기획처장이 대학혁신방안 공청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이지희 기자]
김승용 동국대 기획처장이 대학혁신방안 공청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이지희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동국대가 11일 오후 본관 중강당에서 소속 교수를 대상으로 ‘지속 가능한 동국 발전을 위한 대학혁신방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공청회의 핵심은 현행 학과 제도를 모집단위 광역화 모델로 개편하는 데 있다. 지난 9월 시작된 학사구조개편 논의는 14차례에 걸쳐 진행돼 오면서 모집단위 광역화 모델로 계획됐다.

학교 측은 이번 학사구조 개편 방안의 배경으로 △학령인구 절벽 △교육부 ‘대학혁신지원방안’ 발표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대응 △주요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 등을 꼽았다.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유연한 학사구조가 필요한 상황임을 강조하며 학사구조 개편을 통해 학생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사회수요연계 정원을 운영할 수 있으며, 충원율 제고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집단위 광역화 방향이 필수임을 강조하면서 학과별 모집과 계열별 모집을 병행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학사구조가 개편되면 현행 16개의 단과대학은 5대 계열(인문, 사회, 자연, 공학, 예체능)로 광역화된다. 다만 모든 학과가 100% 계열별 통합이 되는 것은 아니고 70%는 기존 학과에서 정원을 유지하고 30%는 계열별로 입학정원으로 통합 모집하게 된다.

과거 학부제로의 회귀를 우려하는 의견에 대해서는 학생의 소속감 부재, 높은 중도탈락률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임을 강조했다. 모집단위에서 학생 정원 제한을 없애고, 입학 시점에 학과 가선택을 통해 학생의 불만을 줄여 학생이 희망하는 학과로 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예외는 있다. 입학정원을 정하는 데 있어 교육부의 지침을 따르는 학과나 특성화 전략에 따라 별도 모집단위를 유지해야 하는 학과는 광역화 모델에서 제외한다.

김승용 동국대 기획처장은 “2024년까지 전체적인 학생이 줄어들고 그 수는 서울 수도권 76개 대학을 다 합친 규모를 넘어선다. 서울 소재 대학이 증발한다는 의미로 혁신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동국대도 쓰나미를 비켜갈 수 없다”며 “교육부의 혁신지원방향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발표에서도 나타나듯이 대학의 정원을 강제하지는 않겠지만, 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하겠다는 것”이라며 학사구조개편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교육혁신처에서는 교육부의 정책을 바탕으로 △융합전공제 △집중이수제 △성적평가 개선에 대한 내용을 예고했다.

연구처에서는 연구지원 및 교원인사 제도의 개편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도 합리화 △우수교원 보상제도·인센티브 강화 △연구업적 질적 평가 시행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KCI 논문게재 장려금과 국제저명논문 게재 장려금 등이 제안됐다. 교원 인사제도 부분에서는 논문 인정환산율 제도를 개선하고 국제저명논문 가중치를 신설하거나 조정 등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사외이사 등 교원 겸직제도 개편이나 교수 승진 및 정년보장임용 분리 등의 제도 개편안도 발표됐다.

공청회에 앞서 학생들이 대학혁신방안 참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 후 공청회장에서도 항의를 계속하면서 진행이 지연되기도 했다. 이후 교수협의회 회장이 참석 교수들의 퇴장을 요구하면서 극히 일부 교수만 남아 진행됐다. 이 때문에 설명회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도 일산 캠퍼스와 관련한 한 건의 질의 외에 추가 질의 없이 공청회가 종료됐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