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웅 서울예술대학교 영화전공 교수(영화감독)

손태웅 서울예술대학교 교수(영화전공)
손태웅 서울예술대학교 교수(영화전공)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핵심 부문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과 국제장편영화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 영화계의 중심이 된 봉준호 감독은 재치 있는 언변으로도 화제가 되고 있지만, 그 발언의 이면에 몇 가지 문화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어서 흥미롭기도 하다. 영화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간 영화제 주변에서 튀어나온 봉준호 감독의 어록과 수상소감이 내포한 의미들을 되짚어(또는 뒤집어) 보고자 한다.

“오스카는 ‘로컬’이다”
언론에서는 한국 영화의 아카데미 영화제 수상에 대해 어마어마하게 많은 뉴스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영화인들의 가장 큰 로망은 사실 아카데미 영화제가 아니라 칸영화제였다. 올림픽 1위나 월드컵 우승 보도 같은 느낌의 ‘아카데미 영화제 수상 쾌거’에 관한 뉴스들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기사보다 월등하게 넘쳐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우리나라에 오랜 기간 깊이 잠복해 있던 미국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열등감을 방증하기도 한다. 2019년 10월의 어느 매체 인터뷰에서 봉준호 감독의 이 발언은 미국에서조차 ‘사이다 발언’으로 여겨졌고,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열등감의 근원이 이미 오래전에 없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착시와 쾌감을 불러일으켰다.

물론 이 발언은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의 자부심과 자신감이 바탕이 되어 나온 부분도 없지 않겠으나, 결과적으로 ‘#OscarSoWhite’(백인 중심적인 아카데미 시상을 비꼬는 해시태그 운동) 등으로 인해 비판의 칼끝에 선 아카데미 영화제가 반전의 계기로 <기생충>을 선택하기에 좋은 자극처럼 보이게 됐다. 어찌 보면 ‘한국영화의 쾌거’보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외치고 있는 미국의 심장부에서 벌어진 ‘오스카 역사의 반전’과 ‘미국 영화계의 시선 변화’의 핵심에 영화 <기생충>이 존재하게 된 현상이 더 흥미롭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름이 바뀐 첫 번째 상을 받게 돼 의미가 깊다”
92회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외국어영화상’은 ‘국제장편영화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봉준호 감독은 위 발언에 이어 “그 이름이 상징하는 바가 있다. 오스카가 추구하는 방향에 지지와 박수를 보낸다”고 소감을 밝혔는데, 이는 또한 골든 글로브 외국어영화상 수상 소감이었던 “자막의 1인치 장벽을 뛰어넘으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다”와 “우리는 단 하나의 언어를 쓴다고 생각한다. 그 언어는 영화(시네마)다”라는 발언과 더불어 전 세계가 문화의 지평을 확장하고 공유하는 것에 대해 중대한 가치를 부여하는 발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를 대표해서 시나리오를 쓰는 건 아니지만, 한국의 첫 수상이다”
첫 수상인 각본상을 받으며 발언한 이 수상소감에는 한국 최초의 오스카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득 차서 국가대표 감독을 응원하는 겨레의 염원(?)을 온 몸에 떠안고 있던 봉준호 감독, 더 나아가 한국 문화예술계의 딜레마가 담겨있다. 어쩔 수 없이 할 필요가 있는 발언이었을 수도 있고, 마음에서 우러나 기쁘게 한 발언이었을 수도 있으나, 평소에 필자가 알던 봉준호 감독의 성정상(또는 영화인들 특유의 ‘반골기질’에 기반을 두고 볼 때), ‘국가를 대표해서 시나리오를 쓰는 건 아니다’라는 발언도 눈여겨볼 만하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은 이제 사람들이 ‘국가’에 대한 얘기보다는 문화예술 자체(영화로 치면 ‘시네마’)에 대한 얘기에 더 귀를 기울여주는 단계로 가는 시발점으로 이 수상 결과를 받아들이고 싶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말 인용)
감독상 수상 소감이야말로 모든 영화인들이 가장 큰 감흥을 느낄 만한 것이었다. 봉준호 감독과 함께 한국영화아카데미 시절을 보내고 함께 시나리오 작업도 했던 필자의 입장에서는 스콜세지 감독의 영화 얘기를 입에 달고 지냈던 봉준호 감독이 스콜세지 감독을 단상 밑에 두고 그의 말을 인용하며 수상소감을 얘기하는 것을 목격하는 것 자체가 너무나도 비현실적이고 감개무량한 상황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이어졌던 봉준호 감독과 마틴 스콜세지의 교감의 눈빛 교환에는 예술창작의 모든 ‘고통과 희열’, ‘과정과 결과’가 담겨 있는 듯 했다. 일면식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통해 서로 마음 깊이 이해하고 존중하는 두 거장의 교감이 어쩌면 어떤 수상의 풍경보다도 더 짜릿한 것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콜세지 감독의 이 말은 한 때 우리나라를 휩쓸던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캐치프레이즈와도 묘하게 오버랩이 되며, “한미 합작 프로덕션이었던 <옥자>보다 오히려 한국적인 것들로 가득 찬 <기생충>으로 더 여러 나라에서 반응을 얻은 걸로 보아 가장 가까이 있는 주변에 있는 것을 들여다봤을 때 오히려 가장 넓게 전 세계를 매료시킬 수 있는 게 아닌가 싶다”고 한 봉준호 감독의 말과 더불어 변방에서 고군분투하는 모든 문화예술인에게 자신감과 희망을 북돋워주기도 한다.

“제가 원래 좀 이상한 사람이에요. 평소 하던 대로 했습니다”
다행히 우리는 이미 어느 정도는 이상한 것들을 포용하는 사회가 됐다. 작품상을 포함한 4개 부문의 수상 비결을 묻는 질문에 대한 봉준호 감독의 이 답변은 일견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삶의 지표’가 되기에 충분히 묵직한 것이 아닐까 한다. 사회가 할 일은 관대한 시선으로 믿음을 가지고 잘 뛰어놀게 해 주는 것이고, 예술가들이 할 일은, 아직 빛나지 않았어도 개개인 모두 지니고 있는 예술적 자부심과 책임감으로 온 힘을 다해 꾸준히 ‘평소 하던 대로’ 하는 것이다. 거기에 찾아올 수도 있고 요원할 수도 있는 행운은 오늘의 이 사태(봉준호 감독이 언급한 ‘좋은 사태’)처럼 믿기 힘들고 얼떨떨한 보너스와도 같은 것일 뿐이다.

(출처 : SBS 비디오머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