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일자리 한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최고 국정과제” 강조
지자체‧지역산업계 계획 세우고, 정부는 컨설팅‧재정지원 뒷받침
인공지능(AI)‧스마트공장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지원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3개 부처 합동 2020년 업무보고의 모습 (사진=청와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3개 부처 합동 2020년 업무보고의 모습 (사진=청와대)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정부가 11일 지역의 고용위기는 사후처방 중심에서 ‘선제대응’으로 전환하고, 부처간 협업을 통한 신산업‧신기술 분야 직업훈련을 확대하는 형식의 올해 고용노동부 업무보고 내용을 발표했다.

청와대는 이날 영빈관에서 국무총리와 당‧청 인사, 일반 국민 등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용노동부‧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 등 3개 부처 합동 2020년 ‘일자리’ 업무보고를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정부가 총력 대응하면서도 각 분야의 정책과제들은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며 “특히 일자리는 한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최고의 국정과제”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난해에는 일자리에서 반등을 이뤘다면, 올해는 국민들이 확실한 변화를 체감하는 해가 돼야 한다”며 “무엇보다 민간의 고용 창출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발언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발언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기회 확대’와 ‘일터 문화 혁신’ 등 두 가지를 올해 핵심목표로 제시했다. 국민이 체감하는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이 주도해 일자리 창출 모델을 설계‧발굴하고,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면서 민간의 일자리 창출력을 높일 것이라고도 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역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계획을 세우고, 정부는 컨설팅, 재정지원을 통해 뒷받침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 산업 기반 경남형 일자리 프로젝트’가 대표적 사례가 될 수 있다. 지난해 모두 481명의 취‧창업 성과를 거둔 경남형 일자리 프로젝트는 로봇과 항공기, 바이오산업 등 경남도 특화산업의 인력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제조업 숙련 실직자를 대상으로 ‘굿 앤 뉴스타트’ 일자리를 지원했으며, 구인기업과 고등학생을 연결하는 경남산단 ‘企高만장’ 지원사업 등이 있다.

(사진=청와대)
(사진=청와대)

부처 협업을 바탕으로 한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신산업‧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으로 지역‧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도 뒷받침한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스마트공장 등 신산업과 신기술 직업훈련을 확대하고,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직무분석(NCS)도 확대될 예정이다. 고용부는 올해 14개 부처에서 62개 신기술 훈련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총 13만2000명, 4947억원 규모라고 밝혔다.

산업구조 변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공동훈련센터(376억원), 산업별 협회‧단체 활용(129억원) 등 기업과 산업계가 훈련 설계부터 실시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 프로그램도 설계하겠다고 했다.

또 그동안 부처 간 따로 운영돼 중복‧사각지대 문제가 있었던 21개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사업을 기술수준과 훈련수요자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부처 간 협업 방식으로 집중투자 한다.

일자리 기회에서 소외되는 취약계층이 없도록 ‘사각지대 없는 국민 고용안전망’도 구축한다. 취약계층이 직업훈련에서 소외되지 않고, 국민 누구나 자기주도적으로 직업훈련을 계획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평생직업훈련을 지원한다.

이재갑 장관은 “올해 일자리 정책은 지역‧산업의 고용창출력을 효과적으로 높여주는 데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운영할 것”이라며 “근본적이고 확실한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일자리 지원방안에 대한 면밀한 실태조사를 거쳐, 맞춤형 종합대책을 마련해 다음달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