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연구팀, 암세포의 눈속임 막는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예측 활용기술 발견

하상준(왼쪽)·이인석 연세대 교수
하상준(왼쪽)·이인석 연세대 교수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를 식별해 자살로 이끄는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 연세대 연구진이 최신 단일세포유전체 분석을 통해 T세포의 탈진에 관여하는 핵심 조절인자를 발굴해 냈다. 임상적으로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반응 예측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인석·하상준 연세대 교수 연구팀은 암 조직 내 TOX 농도가 높을수록 면역관문억제제 효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TOX는 T세포 탈진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연세대 연구팀은 여러 세포 가운데 T세포만의 정보를 선별해, 탈진정도에 따른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했으며 T세포 탈진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 TOX를 도출했다. 실제 폐암과 두경부암 환자의 임상시료에서 TOX 농도가 T세포 탈진정도와 매우 깊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를 받은 피부암, 폐암 환자 조직의 전사체 정보를 분석해, T세포의 TOX 농도가 각각 암환자 생존률,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반응률과 역상관관계라는 점도 알아냈다. TOX 농도로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반응 등을 예측할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 세포탈진 유도하는 TOX 억제를 통한 T세포의 면역항암 효과 개선 전략 (사진=연세대)
T 세포탈진 유도하는 TOX 억제를 통한 T세포의 면역항암 효과 개선 전략 (사진=연세대)

바이러스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생쥐모델에서 제 구실을 못하는 T세포가 관찰되는 등 T세포의 탈진은 감염이나 암에서 회복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하지만 T세포 탈진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기전은 잘 알려지지 않았었다.

연세대 연구팀은 “면역함암치료에 대한 예후예측은 물론 TOX를 억제, T세포의 탈진을 막거나 탈진한 세포를 회복시켜 면역항암 효능을 개선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T세포 탈진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조절인자들을 발굴해 궁극적으로는 T세포 탈진의 조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장기적 목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