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육성법 근거 지역 고교 출신 선발, 교과 41.7%, 학종 24.4% 등 규모 상당
‘장점 즐비’ 경쟁 열기 덜하고, 수능최저 충족 기준도 낮아
자격요건 확인 필수, 호남권 지역구분 ‘복잡’, 전북대는 거주 조건도 요구

(사진=중앙대 제공)
(사진=중앙대 제공)

[한국대학신문 박대호 기자] 수도권이 아닌 지방 소재 고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수험생들은 의대 입시에 도전할 때 우선 지원을 고려해야 할 전형이 존재한다.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존재하는 ‘지역인재전형’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대학이 소재한 지역 내 고교를 나온 수험생들에게 지원자격을 부여하는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 수험생들만 경쟁을 벌이는 전형이기에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하고, 합격선도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대 진학을 도모하는 지방 수험생이라면 가장 먼저 꺼내들어야 할 ‘1순위픽’이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지역인재전형은 ‘지방대육성법’이라 불리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지방대육성법 제15조는 “지방대학의 장은 지역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의대 등의 입학자 중 해당 지역 고교를 졸업한 자(졸업예정자 포함)의 수가 전체인원의 일정비율 이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지방대육성법 시행령은 이를 근거로 강원과 제주는 15%, 나머지 지역은 30%를 지역인재를 통해 모집하도록 구체적인 비율도 제시한다. 

지역인재전형은 모집규모가 상당하다. 강원대가 의대 학부 선발을 실시하면서 2021학년 대입을 치르는 의대는 모두 38개교. 이 중 25개교가 수도권 밖에 위치해 지역인재 선발을 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더 많은 대학이 존재하는 만큼 수도권보다 지방의 정원이 더 많은 것도 당연하다. 지방 소재 의대의 모집인원은 1942명으로 전체 의대 모집인원 2977명의 65.2%를 차지할 정도다. 

이러한 큰 모집규모를 근간으로 삼는 지역인재전형의 올해 선발 규모는 684명으로 전체 의대 정원 대비 23%나 된다. 수시에서 551명, 정시에서 133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 

지역인재전형 선발은 ‘강제 사항’은 아니다. 지방대육성법에 ‘노력’을 요한다는 표현이 쓰이는 데서 알 수 있듯 대학들에 ‘권장’이 이뤄지는 선에 그친다. 권장하는 지역인재전형 선발비율을 지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상당한 모집규모에서 알 수 있듯 지방 대학들은 대부분 지역인재 선발에 ‘열심’이다. 지역 내 의료인력 수요를 확보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전형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지방대육성법이 권장하는 비율을 지키지 않는 대학은 울산대와 동국대(경주), 고신대까지 총 3개교에 그친다. 

나머지 의대들은 도리어 권장 비율 이상의 ‘초과선발’을 하고 있다. 동아대는 전체 모집인원의 81.6%인 40명을 지역인재로 선발하며, 전북대도 53.2%인 75명을 지역인재로 뽑는다. 이외에도 경상대 47.4%, 충남대 44.5%, 원광대 43%, 건양대와 전남대 각 40.8% 등 지역인재전형 비율이 큰 의대가 많다. 

전형별로 보더라도 지역인재전형의 규모는 상당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올해 전국 38개 의대가 수시에서 선발하는 인원은 총 1849명. 이 중 29.8%에 해당하는 551명이 지역인재전형 선발 대상이다. 정시에서도 11.8%인 133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 지역인재전형을 선발하지 않는 수도권 의대들까지 전부 포함한 수치다.

수도권 의대를 제외하면, 지역인재전형의 가치는 한층 높아진다. 지방 의대가 선발하는 1942명 가운데 수시가 1191명, 정시가 751명이다. 지역인재전형을 지방 의대 모집인원과 비교하면, 수시에서는 46.3%로 절반 가까운 인원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방 의대 정시에서 지역인재전형이 차지하는 비율도 17.7%로 상당하다.

전체 의대 기준 수시 세부전형별로 보면, 학생부교과전형은 지역인재전형이 휩쓰는 전형이나 마찬가지다. 전체 학생부교과전형 모집인원 781명 중 41.7%에 달하는 326명이 지역인재전형이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지역인재전형의 비중은 924명 중 225명으로 24.4%를 차지한다. 

지방 고교 출신 수험생들이 지역인재전형을 우선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이처럼 모집규모가 상당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지역인재전형을 외면하는 경우 전국 수험생들이 모여 경쟁하는 일반전형에 지원해야 하는 불리함을 자초하는 꼴이나 다름없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지역인재전형의 장점은 경쟁이 덜 치열하다는 데에서도 빛을 발한다. 성격이 비슷한 전형인 경우 지역인재전형의 경쟁률은 일반전형 대비 확연히 낮다. 예컨대 지난해 연세대(미래) 학생부종합전형 가운데 지역인재전형이 아닌 교과면접전형이나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11.67대 1, 11.8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인재전형인 강원인재전형 경쟁률은 9.57대 1로 일반전형 성격을 띤 전형들에 비해 다소 낮았다. 

이런 현상은 몇몇 대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울산대 학생부종합전형도 지역인재전형은 9.5대 1인데 반해 일반전형은 17.29대 1로 경쟁률이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일반전형이 23.4대 1의 경쟁률을 보인 데 반해 지역인재전형이 7.27대 1을 기록한 경북대처럼 3배 이상 경쟁률이 낮은 경우도 존재한다. 이외 대학들도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성격의 전형 내에서는 지역인재전형이 일반전형 대비 경쟁률이 낮다는 사실은 모두 동일했다. 

지역인재의 장점은 경쟁이 덜하다는 것 말고도 또 있다. 실제 지원하는 데 있어서도 부담이 덜하다. 의대 수시에서 ‘필수요건’처럼 여겨지는, 특히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반영하지 않는 전형을 찾기 어려운 수준인 수능최저학력기준 요구수준이 일반전형 대비 낮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올해도 이같은 경향은 고스란히 이어진다. 가톨릭관동대는 CKU교과전형은 3개영역 등급합 4이내일 것을 요구하지만, 지역인재전형인 지역인재교과전형에서는 3개영역 등급합 5이내를 수능최저로 둔다. 두 전형은 모두 동일한 학생부교과전형이다. 건양대도 일반학생전형에서는 3개영역 등급합 3이내일 것을 요구하지만, 지역인재-최저전형에서는 3개영역 등급합 4이내면 수능최저를 충족한 것으로 본다. 전북대도 일반학생전형은 4개영역 등급합 5이내, 지역인재전형은 4개영역 등급합 6이내로 전형에 따라 수능최저를 달리 적용한다. 일반학생전형과 지역인재전형에 동일한 수능최저를 요구하되 탐구영역 반영 시 일반학생전형은 2과목 평균값을 반영하는 반면, 지역인재전형은 1과목만 반영해 부담을 낮춘 순천향대와 같은 사례도 존재한다. 원광대도 학생부종합전형인 지역인재전형에서는 과탐을 1과목만 반영한다. 

이처럼 장점이 많은 지역인재전형이지만, 유의해야 할 부분도 존재한다. ‘지원 자격’ 유무를 미리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지원 자격을 얻지 못한 경우라면 지역인재는 고려해야 할 전형에서 제외해야 한다. 

특히 호남권 의대들은 지역인재 자격 유무를 가르는 지역 구분에 있어 다른 지역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주의를 요한다. 다른 지역들은 강원, 대구·경북, 충청, 부산·울산·경남, 제주 등으로 구분이 뚜렷하다. 반면, 호남권은 의대마다 지역인재 기준이 제각각이다. 조선대는 광주·전남, 전북대는 전북, 원광대·전남대는 광주·전남·전북을 지원자격을 인정하는 지역으로 본다. 

대부분의 의대는 표현이 다소 다를 뿐 사실상 동일한 기준으로 지원자격 여부를 따진다. “입학부터 졸업까지 재학”이라거나 “전 교육과정을 수행한” 등으로 제시된 지역인재전형 지원자격은 해당 지역 고교에 입학해 졸업할 것을 요구하는 표현들이다. 

여기에 더해 ‘거주조건’까지 요구하는 의대가 있으므로 필히 확인해야 한다. 전북대의 경우 해당 지역 고교를 나오는 데 더해 입학 때부터 졸업 때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할 것도 요구한다. 학생 본인뿐만 아니라 부·모 중 한 명은 전북지역에서 거주한 경우에만 지원자격을 부여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