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3월 청년층 고용률 1~3%p 급락…취업자 10만명 줄어들 수도
KDI “교육개혁 중장기 대책 시급…보건‧IT 유망분야 대학 ‘전공선택’ ‘직업교육’ 필요”

한국개발연구원(KDI) 전경 (사진=KDI)
한국개발연구원(KDI) 전경 (사진=KDI)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청년 고용충격이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노동시장 진입단계에 있는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학 전공선택’을 유연하게 하고, 직업교육을 노동시장과 연계해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이어졌다.

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청년 고용의 현황 및 정책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로 청년들의 경우 고용충격은 2분기 이후로 본격화되고, 부정적 영향이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요셉 KDI 지식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지난 2월 이후 코로나19 확산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말미암아 일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청년 고용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며 “2분기 이후 고용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2월과 3월 청년층 고용률은 각각 1%p와 3%p 떨어졌다.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청년 고용률이 급락했고, 교육서비스업에서도 일시적인 하락세가 큰 폭으로 나타났다.

대면업종 서비스 소비 경향이 급격하게 줄고, 경기가 위축되며 청년층 고용 상황의 악화가 심화됐다고 KDI는 분석했다. 또한 코로나19 위기와 전 세계적 경기침체로 인해 제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이러한 위축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요셉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유사한 충격을 받는다면 청년층 고용률은 1%p, 취업자 수는 10만명 감소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어 “현재 노동시장 진입단계에 있는 청년들의 경우, 미취업 상태가 장기적으로 이어지면 ‘경력 상실로 인한 임금손실’이 지속해서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KDI 보고서는 특히 취업한 경우에도 경력 초기 직장 선택이 제약되는 현 상황이라면, 향후 경력 개발 저해로 이어지는 등 부정적 영향이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첫 직장 임금이 10% 낮아질 경우 경력 10년차 이후로도, 고졸은 같은 연령의 근로자보다 임금이 10% 이상 낮고, 전문대 졸업자나 대졸자는 전일제 취업률이 1%p 이상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한 현 경제위기는 직접 대면과 이동 등이 제한되면서 업종별로 수요충격이 제각각 가해진 상태”라며 “기존 고용정책의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취업난이 예상되는 최근 졸업생의 경우 IT를 비롯한 향후 유망분야의 직업교육 기회를 확대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보건과 IT 부문의 확대에 대비한 산업, 인력양성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DI는 특히 교육 부문에서 △대학 전공선택의 유연성 제고 △직업교육과 노동시장 간 연계성 강화 △진로교육 확대 △원격수업의 내실화 등의 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 위기가 장기화될 경우, 큰 폭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인력양성 정책’의 변화와 함께 ‘교육개혁’ 등 중장기적 대책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