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동시 다발적이고 감염 경로도 불투명하다. 수도권을 넘어 전국 확산은 시간 문제다.

대학가는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며 학사 일정을 소화해야 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학기는 입시, 채용 시즌과 맞물린다. 1학기보다 상황이 더욱 여의치 않다는 의미다.

따라서 범정부 차원의 지원과 대책이 절실하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대책은 통상 유치원과 초중고에 맞춰진다. 대학가에 대한 대책은 가이드라인과 지침만 제시되고, 책임을 대학가에 떠넘기는 형국이다. 실제 교육부의 대책이 발표될 때마다 대학가에서는 토로와 호소가 반복됐다.

1학기를 되돌아보면, 대학가의 대처는 훌륭했다. 원격수업을 신속하게 결정했고, 확진자 발생 시에는 방역과 건물 폐쇄 조치 등으로 연쇄 감염과 집단 감염을 예방했다. 현재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그러나 대학가의 힘만으로 한계가 있다. 원격수업 개선 과제가 산적하고 방역을 위한 인력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 무엇보다 대학가는 원격수업의 후유증, 예를 들면 콘텐츠 부실과 등록금 환불 논란을 고스란히 떠안았다. 특히 2학기에도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 등록금 환불 논란이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을 비롯해 휴학생이 급증하면 등록금 수입이 대폭 감소한다.

그야말로 산 넘어 산이다. 그렇다고 코로나19 종식 기미가 보이는 것도 아니다. 이에 일시적 방편보다 근본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언제까지 교육부가 가이드라인과 지침만 제시하고, 추경을 통해 정부 지원금만 투입할 것인가. 교육부의 1000억원 규모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 지원 사업(대학·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Ⅳ유형)’도 급한 불만 끄는 격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 한 가지 건의한다. 정말 대학가의 목소리를 들어보라. 지금도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2021 진단)의 유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코로나19로 경황없는 상황에서 2021 진단까지 신경을 쓰려면 대학가의 부담이 가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2021 진단을 향해 무소의 뿔처럼 가고 있다. 최근 2021년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 방안(시안)에 대한 의견 수렴까지 마쳤다. 2021년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은 2021 진단의 포문이다. 지금까지 추세라면 교육부의 2021 진단 일정에변함이 없다.

한 대학 교수는 “내년에 대학기본역량진단이 있다. 때문에 평가 유예 등 행정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재정지원까지는 바라지 않는다. 행정적 요구사항을 줄여주는 것만 해도 대학들에는 도움이 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디 교육부가 새겨듣기를 바란다. 행정적 배려는 별도의 비용도, 인력도, 시간도 필요하지 않다. 말 그대로 배려가 필요할 뿐이다.

코로나19는 명백히 천재지변이자 국가 재난 사태다. 고로 대학가를 보호, 지원하는 것이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의 책임이다. 대학은 교육기관이다. 그렇다면 천재지변과 국가 재난 사태에 정부가 교육기관인 대학가를 책임지는 것이 마땅하지 않은가. 이에 범정부 차원의 대학가 보호·지원 대책이 하루속히 수립, 공표돼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2학기에 갈등과 혼란이 악화될 것이다. 원격수업과 등록금 환불을 두고 학생들과 대학 본부의 갈등이 깊어질 것이며 입시와 취업 시즌에 맞춰 수험생과 학부모, 취업 준비생의 불안이 커질 것이다.

이미 지적했듯이 1학기보다 2학기 상황이 첩첩산중이다. 실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대학가가 속속 2학기 원격수업 연장을 공표하자 휴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2학기에도 원격수업을 들을 바에야 차라리 휴학하겠다는 생각이다.

그래도 다행이라면 정부도, 대학가도 1학기에 코로나19 예방주사를 맞았다. 이에 정부와 대학가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는다면 코로나19의 후유증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작은 정부가 대학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더 늦어지기 전에, 상황이 악화되기 전에 정부가 조속히 실행에 옮기기를 촉구한다. 그리고 이것이 대학가는 물론 학생들을 위한 길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