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주 경성대 기획부총장, “ESG 개념부터 올바르게 정립해야…인재 양성하는 대학 본연 임무 잊어선 안 돼”
차지철 동명대 혁신지원사업단장, “대학의 자발적 ESG 참여 이끌어내려면…ESG 필요성에 대한 의문 해소돼야”

지난달 31일 열린 ‘제10회 대학혁신지원사업 웨비나 콘퍼런스’에서 이준희 ESG센터 전략그룹장의 ‘ESG와 대학경영 : ESG경영과 미래인재 육성’ 발제 이후 참석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지난달 31일 열린 ‘제10회 대학혁신지원사업 웨비나 콘퍼런스’에서 이준희 ESG센터 전략그룹장의 ‘ESG와 대학경영 : ESG경영과 미래인재 육성’ 발제 이후 참석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부산=한국대학신문 김한울 기자] ESG를 대학에 도입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두고 대학 관계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하지만 현재 대학이 처한 상황에 ESG 경영과 교육을 도입하는 것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일반 기업이 활용하는 경영 방식을 충분한 논의 없이 그대로 도입하는 것보다 대학 현실에 맞게 변환시키는 것이 우선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이어졌다.

지난달 31일 열린 ‘제10회 대학혁신지원사업 웨비나(Webinar) 콘퍼런스’에서 이준희 ESG센터 전략그룹장의 ‘ESG와 대학경영 : ESG경영과 미래인재 육성’ 발표 이후 해당 내용에 대해 이남주 경성대 기획부총장과 차지철 동명대 대학혁신지원사업단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최용섭 본지 주필 겸 편집인이 사회를 맡아 두 명의 발표자와 더불어 이 그룹장도 참여해 두 대학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남주 경성대 기획부총장. (사진=한명섭 기자)
이남주 경성대 기획부총장. (사진=한명섭 기자)

먼저 이남주 부총장은 대학에 ESG를 도입하기 이전 기업에서 ESG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를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부총장은 “대학에 ESG적 요소를 적용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업도 지향하는 바에 따라 비전과 목표가 달라지는 것처럼 대학도 ESG를 도입하기 전 상황에 맞는 정도를 설정하고 이에 맞게 변환하는 유연한 자세가 우선돼야 한다”며 “하지만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대학 본연의 임무는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 대학이 처한 상황이 ESG 도입을 망설이게 한다고 꼬집으며 위협 요인으로 학령인구 감소를 뽑았다. 이 부총장은 발전과 생존의 갈림길에 놓인 대학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는 점도 설명했다. 그는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에 입학하는 자원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대학은 생존의 갈림길에 서있다”며 “대학이 발전보다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시점에서 무턱대고 ESG를 도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밝혔다. 

또한 10년 넘게 이어진 등록금 동결로 대학 재정이 많이 약화됐고 일반재정지원대학, 대학기본역량진단 등 대학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평가들이 많아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현실을 소개하는 등 ESG 도입에 제한이 많다고 전했다. 그는 “대학은 수많은 평가 속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지표를 맞추는 것도 벅차다. 여러 문제에서 기초한 대학의 위기 속 ESG는 ‘빛 좋은 개살구’로 보일 수 밖에 없다”며 대학의 어려움을 전했다.

이 같은 힘든 상황 속에서도 경성대는 환경적·사회적 책무와 투명경영 실현을 위해 LED 전구 교체, 전기자동차 충전소 설치 등 ESG 경영에 나서고 있으며 교내 구성원들과 함께하는 3자 협의체 운영으로 투명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이 부총장은 사례를 소개하며 적절한 재정적 지원이 이뤄진다면 대학은 ESG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ESG가 대학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기에 어떤 방식으로 대학에 적용하고 정립 과정에서 대학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차지철 동명대 대학혁신지원사업단장. (사진=한명섭 기자)
차지철 동명대 대학혁신지원사업단장. (사진=한명섭 기자)

차지철 동명대 대학혁신지원사업단장도 이에 동감했다. 차 단장은 “ESG가 대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다만 ESG에 대한 개념적 이해도가 낮아 어떤 도움이 구체적으로 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대학 내 ESG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함을 언급했다.

다만 대학이 ESG를 도입하는 것은 재무적인 어려움 외에도 ESG가 왜 대학에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며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해소돼야 대학 구성원들을 비롯해 대학의 자발적인 ESG 방식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 ESG를 대학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전부터 대학이 갖고 있는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논의가 있어야 한다. ESG를 통해 무엇을 가르치고 어떤 경영 방식을 취할 것인지 전략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구성원들에게 이해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전반적인 체계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ESG 도입을 위해 대학 평가 지표에 ESG 평가 지표를 넣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대학 평가에 ESG 요소를 넣는 방법은 대학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며 “ESG가 대학에 녹아들 수 있도록 대학별 도입 사례를 공유한다면 각 대학에 맞는 체질 개선이 이뤄지고 진정한 ESG 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두 토론자의 발표가 끝나자 이준희 그룹장은 이에 공감하며 ESG 경영이 대학에 실질적으로 반영되기 위해 아직 많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대학경영에서 ESG가 큰 이점을 불어온다는 것을 알기에 위기 속 대학이 생존전략을 모색할 때 ESG가 필요하다는 공감대 형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대학경영’이라는 큰 목표 아래 대학이 방향성을 찾아갸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