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이후 괄목성장해 온 대학출판부. 그러나 IMF 관리체제 이후 타격을가장 많이 받는 출판계와 같이 대학출판부도 예외없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학출판부 재정에 일정한 기여를 해온 교재 출판이 학제 개편으로 입지가 줄어들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학술도서 구입량도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학술도서와 교양도서 중간 형태의 기획시리즈 발간 등 다양한 특성화 전략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고질적인 문제점은 여전히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 대학의 얼굴이자, 한 나라의학문수준을 가늠하는 상징물인 대학출판부의 구체적인 개선책 마련과실천이 시급하다. (편집자)

대학출판부의 근본 기능은 교육자료의 공급과 연구결과 발표의 터전을 마련해주는 데 있다. 더불어 각종 교재 개발과 최신정보 제공, 비영리 학술도서 발간 등에도 주력해야 한다는게 일반적인 상식. 그리고 국내 대학출판부의 경우, 일반 독자들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다양한 기획도서 출간까지 담보하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 대학출판부의 상급단체인 「한국대학출판부협회」(협회)에 속된 대학출판부는 75개 곳. 이중 '신간을 발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곳은 45개 곳 정도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연간 20종 이상의 신간을 출간,출판사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곳은 서울대, 경남대, 이화여대, 전주대, 고려대, 연세대, 전남대, 건국대, 부산대, 계명대, 한국외대 등 ll곳에 불과하다. 숭실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등광복 이전까지의 시기까지 포괄, 9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출판부의 초라하기 그지없는 행색이다.

대학출판부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은 80대 이후. 이어 90년대 이후 각 출판부별 특성에 맞는 기획도서 출간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같은 활동에 힘입어 97년에만 9백70여종이 출간되었고, 지금까지 발간된 신간은8천7백7종에 달한다.

물론 교재 발간비율이 30% 이상에 육박히던 80년대 초반까지에 비하면 많은 변화를 일구어냈다.

97견에만 9백70여종이 출간되었고, 간행물 종류도 다양해졌다. 최근협회에서 출간한 「1997∼1998 대학출판부 신간도서목록」에 등록된 것만45개교 7백50여종에 이른다.

이중 사회과학이 28.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문학(30,7%), 기술과학(12.5%), 어학(9.1%)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응용과학과 실용학문을 우대하는 사회 흐름과는 달리 아직까지 인문·사회물의 출간비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 IMF의 타격을 받아 각 출판부볕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큰 타격이다.매해 평균 25억여원의 매출을 올리던 서울대 출판부의 경우 매출이20∼30% 줄어들었다. 설상가상으로, 공공 도서관에서 소화해주던 도서구입량도 20%가량 줄었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이같은 어려움이계속된다면, 양질의 비영리 학술도서 간행은 물론 지금까지의 출판활동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