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 주식투자에 나서야 할 때”
[인터뷰] 한국증권업협회 김정수 회원업무팀장
“대학들은 향후 10년 후 입학자원이 현저히 줄어드는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 예금이나 채권에만 투자하는 자산운영으로는 다가올 미래에 대비할 수도 없고, 분산 투자원칙에도 어긋난다.”
한국증권업협회 김정수 회원업무팀장<사진>은 대학들도 이제 주식 투자에 나설 때라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국내 주식시장이 과거보다 안정됐다는 분석에서 비롯됐다. 그는 “국내 주식시장에 주식형 펀드 수탁고가 84조를 넘었다”며 “외국인 매수·매도에 따라 일희일비하던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이제는 개인들도 펀드에 가입하지 않으면 뒤쳐진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주식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김 팀장은 “수요가 많아지면 주식은 오르게 돼 있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만 봐도 저금리 때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지수가 10배 이상 성장했다. 우리나라도 국민연금과 연기금이 주식 투자를 늘리는 등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기적으로 하버드와 예일대 같은 20% 이상의 고수익을 올리려면, 투자의 전문화가 필요하단 주장도 제기했다.
“일단 장기 투자로 리스크를 줄이고, 예금·채권·주식투자·대체투자 등으로 분산투자를 하면 일정한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려면 투자의 전문화를 꾀해야 한다. 대학들도 지금처럼 보수적으로 자금을 운용해선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직접 나서기는 부담스럽고, 당장 전문화된 조직을 갖추기도 어렵다. 그래서 사립대학 투자풀을 조성하자는 얘기가 나온 것이다.”
‘사립대학 투자풀’은 대학이 전문화된 투자팀을 갖추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규모 자산으로도 ‘규모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설명이다. 증권업협회는 대학기금이 은행권으로 쏠리는 것에 변화를 주고자 채권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 작년 9월 이러한 결론을 얻었다.
“원래는 대학 자산운영에 통용될 수 있는 투자정책지침서(IPS)를 만들려고 채권연구원에 용역을 줬는데, 연구결과 미국의 미국 커먼펀드(Common Fund)처럼 사립대학 투자풀을 만들어 운영하는 게 효과적이란 결론을 얻었다.”
이에 따라 증권업협회는 작년 10월, 서울·경기지역 대학 재정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사립대학 투자풀’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물었다. 그 결과 25개 대학 중 20개 대학이 참여의사를 밝혔다.
“오는 11월 교육부가 사학기관 재무회계 규칙을 개정하면, 사립대학 투자풀 조성작업을 시작할 것이다. 우리(증권업협회)가 단독으로는 못하고 사학들이 운영위원회를 만들어 거기서 자산운용사나 판매사를 선정하게 된다. 투자풀이 조성되기 위해선 각 대학에서 자금을 출자해야 하는데 과연 얼마나 출자가 이뤄지고,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용되느냐가 관건이다. 안정적이고 수익률이 좋다는 인식이 퍼지면 투자풀 규모도 늘어날 것으로 본다.”
사립대들이 직접 투자에 나섬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노하우 축적’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란 비판에 대해선 “현실적으로는 맞지 않는 지적”이라고 일축했다.
“노하우는 전문화된 조직이 갖춰졌을 때 축적될 수 있는 것이다. 국내 사립대학 중 전문화된 자산운용팀을 갖춘 대학은 많지 않다. 더욱이 보수적인 국내 대학 분위기에서 누군가 책임지고 자산운용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다. 사립대학 투자풀은 이러한 국내 대학들이 투자를 다변화하는 초기 단계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