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60주년 한국교총 '교육현장 속으로'
2007-11-21 윤지은
교육발전과 교원의 사회ㆍ경제적 지위 향상에 힘써온 교총은 1947년 11월 23일 조선교육연합회를 모체로 출범했다. 폐허 속 교육재건이 목표였다.
해방 후 일본인 교사가 대부분이었던 시절 독립 국가의 민주교육 보급에 목적을 뒀던 조선교육연합회는 1948년 교육전문지 '새교육'을 필두로 초등수업 연구지 '새교실'을 잇따라 창간하며 민주적 교사의 자질 향상에 노력을 기울였다.
6.25 전쟁이 발발한 1950년 교총은 부산으로 피난살이를 떠났지만 전쟁 중 천막교실 수업으로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으며 1954년 공무원 보수규정에서 교육공무원을 따로 떼어내 공무원보수규정을 만들며 교원 지위향상에 기여했다.
군사정권이 장기간 집권한 1960∼1987년은 교총에 격랑의 시기이자 교육자치의 불씨를 지핀 도약의 시기이기도 했다.
교총은 1961년 관리자 중심이던 임원과 대의원의 3분의 2를 평교사로 구성하고 같은 해 5월에는 새한신문(현 한국교육신문)을 창간하며 정부와 교총, 회원 간 열린 의사소통 창구를 마련했다.
1964년 시도단위 교육자치제 시행에 이어 해방 뒤 입시위주 교육으로 변질됐던 초등교육을 되살리려 1968년 무시험 추천제를 골자로 하는 '7.15 중학 입시개혁'을 이끌어 내며 교육평준화의 단초를 마련했다.
무엇보다 1980년에 마련된 교직수당 신설은 교총 활동의 대표적인 성과물중 하나다. 월 1만5천원에 불과했지만 '교직'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마련했다는 게 당시 평가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등 민주화물결이 몰아치면서 교총은 여러 변화를 꾀했다. 기존 250명이던 대의원수를 450명으로 늘렸고 임원의 교육부 승인제를 보고제로 전환하며 교원의 대표성과 민주성을 확보하려 했다.
1990년대 들어서 교총이 중점을 뒀던 교육재정 GNP 5% 확보 사업은 1992년 14대 대선후보들에게 공약으로 받아들여져 이후 선거에서 당선된 김영삼 전 대통령은 임기 중 교육재정을 GNP 대비 4.6%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하지만 교총에게도 혹독한 시련이 기다리고 있었다.
전교조가 합법화되면서 복수의 교원단체는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했고 최근 10년간 마주했던 두 정부와는 교육정책을 두고 번번이 마찰을 빚었다.
교원정년 단축과 교장공모제로 시작된 정부와의 불협화음은 교원평가제에 이르러 극에 달했다.
이런 갈등은 교총에게 체질적 변화를 요구했고 기존의 보수적 이미지를 탈피해 현장 중심의 교원단체로 거듭나는 데 오히려 도움을 줬다.
교총은 2004년 평양에서 연 남북교육자통일대회 이후 남북교원교류 활동에 나서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패스트푸드의 유해성을 알리는 계기수업 및 건강캠페인을 통해 교육현장의 요구를 포용해가고 있다.
특히 올해 7월 회장 선출을 직선제로 전환해 평교사를 회장으로 선출하면서 교총의 달라진 모습을 교원과 학부모 등에게 선보였다.
한재갑 교총 대변인은 21일 "교총이 지금까지 교원들만을 생각했던 단체였다면 이제는 학생과 학부모, 교원 모두가 함께하는 전문직 공통체주의를 지향하고 있다"며 "60년 전 선배교육자들의 창립 정신으로 돌아가 학교 중심의 교육정책을 실현하고 교실교육 제일주의를 기치로 교원 교육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